[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대기업 3곳 가운데 2곳은 저성과자가 경영활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전국 30인 이상 380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5년 저성과자 관리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66.7%의 대기업과 45.8%의 중소기업들이 "저성과자가 경영활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저성과자의 연령 비중은 대기업의 경우 50대가 37.1%로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의 경우 20대가 30.5%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대기업의 경우 연공형 임금체계로 인해 50대 근로자 임금이 생산성이나 성과에 비해 과도하게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전체 근로자 가운데 저성과자의 비중은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높게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저성과자 비중이 '5~10%'라는 응답이 45.4%, '10~15%'라는 응답은 23.5%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기업은 ▲'전체의 5% 미만' 59.8% ▲'전체의 5~10%' 25.4% 등으로 조사됐다.
노조 유무별로는 노조가 있는 기업(56.3%)이 노조가 없는 기업(51.4%)보다 부정적 영향이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저성과자 때문에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는 ▲내부 조직문화 저해(53.5%) ▲조직성과 하락(35.0%) ▲기업 이미지 훼손(10.2%) 등으로 나타났다.
저성과자 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법·제도로는 ▲근로조건 불이익 변경 절차 요건 완화(28.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배치전환 및 인사이동의 정당성 요건 완화(25.0%) ▲해고의 정당성 판단 기준 완화(23.7%) ▲근로계약 일반해지제도 법제화(2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저성과자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로 ▲개인의 역량 부족(33.0%) ▲조직 부적응과 태도문제(29.4%) ▲연공형 임금체계로 인한 느슨한 직장문화(15.7%) 등을 꼽았다.
저성과자 판단 기준은 ▲인사평가 시 최하위 등급(44.2%)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최소한의 업무 역량 미달(36.1%) ▲업무능력·성과와 임금 간의 큰 격차(17.9%) 순이다.
저성과자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직무교육이 41.2%로 가장 많았으며 ▲직무변경(34.3%) ▲보상·처우조건 활용(17.8%) ▲기타(6.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저성과 상태를 극복하지 못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직무변경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37.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권고사직 등 고용조정(23.2%) ▲직무·직급조정 없이 보상체계로 대응(19.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