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2012년 235%에 달했던 공공기관 부채비율이 올해 말 투자등급인 200% 이하, 2019년엔 160%대로 낮아질 전망이다.
2017년 200%(신용등급 BBB 수준) 달성 목표를 2년가량 앞당긴 것이다. 통상적으로 BBB- 이상을 투자등급으로 분류한다.
16일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5~2019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을 11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계획에 따르면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대상기관(39개)의 총 부채비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올해 말 197%, 2019년 163%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부채비율이 높은 18개 중점관리기관의 경우도 부채비율은 2014년 322%에서 2019년 226%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부채비율은 2015년 대비 27%포인트 하락, 부채는 230조1000억원으로 2015년 대비 7조원 증가할 전망이다.
주택사업, 도로, 철도, 수자원 등 분야에서는 부채가 감소되거나 부채비율이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만 호남선 고속철도 건설투자, 스크린도어 설치 등의 투자 확대로 철도시설의 부채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관련 부채는 170조9000억원에서 188조6000억원으로 늘어나지만 부채비율은 198%에서 182%로 하락할 전망이다. 신규 원전 건설 등으로 한수원의 부채와 부채비율이 증가한다.
금융 부채는 156%에서 100%로 하락한다. 부채도 102조5000억원에서 91조8000억원으로 개선된다.
당기순이익 흑자기관은 2014년 30개에서 2019년 32개 기관으로 증가한다. 흑자전환 기관은 석유공사, 광물자원공사, 철도시설공단, 산업단지공단, 여수항만공사 등 5개다. 적자전환 기관은 중소기업진흥공단, 공무원연금공단, 국민체육진흥공단 등 3개다.
기업이 수입에서 이자비용으로 얼마를 쓰는지 나타내는 수치인 이자보상배율은 2014년 1.8에서 2019년 2.1로 개선된다.
정부는 자산매각, 사업조정, 경영효율화 등 자구노력 추진상황을 점검해 부채관리가 차질없이 이행되도록 관리할 방침이다.
18개 부채 중점관리기관 중 금융공공기관(예금보험공사, 장학재단)을 제외한 16개 기관을 대상으로 공사채 총량제를 실시한다. 공사채 잔액 한도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16개 기관의 공사채 잔액은 2015년 239조9000억원에서 2019년 241조5000억원으로 1조6000억원 증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