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여러 약물을 함께 복용하며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총장 강성모)는 바이오및뇌공학과 이도헌 교수(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장) 연구팀이 복합 처방된 약물들의 인체 내 간섭현상을 컴퓨터 가상인체로 분석해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여러 약물을 함께 처방받은 환자가 이를 복용할 경우 약물의 간섭 현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미리 검사하는 시스템이다.
그동안에는 의약품 적정사용평가(DUR)에 등재된 약물만 부작용 여부를 알 수 있어 복합처방으로 인한 의료 사고를 막기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팀은 대규모 컴퓨터 가상인체 시스템을 개발해 몸 속에서 약물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냈다.
연구팀은 컴퓨터 가상인체에서 랜덤워크 알고리즘을 이용, 약물 표적의 생체 내 분자 신호전파를 시뮬레이션하고 두 개의 약물이 서로 끼치는 영향의 정도를 정량화했다.
특히 기존 예측 기술들이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약물 표적사이의 근거리 간섭만을 고려한 것과 달리 연구팀은 원거리 간섭까지 고려해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다수의 표적을 갖는 복합 천연물의 신호 전파도 분석해 약물과 천연물 사이의 상호작용 예측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도헌 교수는 "이번 기술은 자체 개발한 대규모 컴퓨터 가상인체 시스템을 통해 진행됐다"며 "약물 복합처방의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갖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학술지 '플러스 원(PLOS ONE)'에 게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