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프로야구]테임즈, 박병호 6표 차로 제치고 MVP…구자욱 신인상

URL복사

[시사뉴스 박철호 기자] 에릭 테임즈(29·NC)가 홈런왕 박병호(29·넥센)를 따돌리고 프로야구 2015 KBO리그 최우수선수(MVP)상을 수상했다.

테임즈는 24일 오후 2시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 케이호텔에서 열린 2015 타이어뱅크 KBO리그 시상식에서 기자단 투표 총 99표 중 50표를 얻어 44표를 얻은 박병호를 6표 차이로 간신히 따돌리고 MVP를 수상했다.

총 유효투표수의 과반을 획득해야 하는 선정 과정에서 1표만 이탈했어도 테임즈와 박병호는 2차 재투표를 펼쳐야 했다. 극적인 수상이다.

타이론 우즈(1998년), 리오스(이상 두산·2007년)에 이어 역대 3번째 외국인선수 MVP다.

테임즈는 타율 0.381, 장타율 0.790, 출루율 0.497, 득점 130개로 타격 4개 부문 타이틀을 가져가며 절정의 기량을 과시했다.

 '기록제조기'로 불린다.

테임즈는 국내 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40홈런-40도루(47홈런 40도루)의 주인공이 됐다. 40-40은 메이저리그에서도 역사상 4명밖에 없는 대기록이다.

 '40-40' 뿐 아니라 일생에 한 번 하기 힘든 사이클링 히트(한 경기에서 1루타·2루타·3루타·홈런을 모두 기록)도 두 차례나 기록했다.

테임즈는 MVP 트로피와 부상으로 3700만원 상당의 SUV 차량을 받았다. NC와 150만 달러에 재계약을 맺은 테임즈는 내년 시즌에도 맹활약을 예고했다.

테임즈는 "긴장해서 며칠동안 잠도 못 잤다. 모든 분들에게 감사하다"며 "다음 시즌에 또 보자"고 했다.

강력한 MVP 경쟁자였던 박병호는 홈런상과 타점상에 만족했다.

박병호는 올해 53홈런을 쳐 역대 최초로 2년 연속 50홈런 이상과 4년 연속 홈런왕에 올랐다.

타율 0.343(5위), 181안타(3위), 129득점(2위), 장타율 0.714(2위), 출루율 0.436(5위) 등 공격 전 부문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46타점은 이승엽(삼성)의 기록을 넘어선 한 시즌 역대 최다 기록이다.

박병호는 포스팅(비공개 경쟁 입찰)을 통해 최고응찰액 1285만 달러를 써낸 미네소타 트윈스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메이저리그 진출이 유력한다.

생애 한 번뿐인 신인상은 구자욱(22·삼성)에게 돌아갔다.

구자욱은 기자단 투표 총 100표 중 60표를 얻어 34표를 받은 김하성(넥센), 6표의 조무근(kt)을 따돌리고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102년 2라운드 12순위로 삼성에 입단한 구자욱은 올해 116경기에 출전해 타율 0.349 11홈런 57타점 97득점 17도루 출루율 0.417로 신인답지 않은 빼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타율 부문은 3위, 득점과 출루율은 전체에서 10위에 자리했다.

무엇보다 부상 선수가 발생했을 때, 포지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해 삼성의 정규리그 5연패에 크게 일조했다.

구자욱은 트로피와 함께 상금 300만원을 받았다.

야구 기자단 투표로 결정되는 MVP와 신인왕 투표는 이미 지난달 11일 두산과 넥센의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 앞서 실시됐다.

◇2015 KBO리그 부문별 수상자 명단

▲최우수선수상(MVP) - 에릭 테임즈(NC)
 ▲최우수신인상 - 구자욱(삼성)
▲평균자책점상 - 양현종(KIA)
 ▲승률상 - 에릭 해커(NC)
 ▲승리상 - 에릭 해커(NC)
 ▲세이브상 - 임창용(삼성)
▲탈삼진상 - 차우찬(삼성)
▲홀드상 - 안지만(삼성)
▲타율상 - 에릭 테임즈(NC)
 ▲홈런상 - 박병호(넥센)
▲타점상 - 박병호(넥센)
▲안타상 - 유한준(넥센)
▲출루율상 - 에릭 테임즈(NC)
 ▲장타율상 - 에릭 테임즈(NC)
 ▲도루상 - 박해민(삼성)
▲득점상 - 에릭 테임즈(NC)
 ▲특별상 - 김병주 심판위원

◇2015 퓨처스리그 부문별 수상자 명단

▲승리상 - 김상수(상무)
▲평균자책점상 - 장진용(LG)
 ▲타율상 - 김태진(고양)
▲홈런상 - 한동민(상무)
▲타점상 - 조평호(고양)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이 대통령 “정부 지출 효율화 방안 모색...확대 재정 강조”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3일 확대 재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나라재정 절약 간담회'를 주재하며,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할 국가재정이 매우 취약하다. 지출 조정을 통해 가용자원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정부가 하고자 하는 '진짜 성장', '민생 회복'을 위해선 현재 예산이 가진 문제점들을 잘 살펴봐야 한다"며, “국가 예산 및 정부 지출의 효율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시대 과제는 성장과 민생을 회복하는 것으로 농사로 따지면, 봄에 뿌릴 씨앗이 필요하다"며, "그런데 국가재정여력이 너무 취약해져서 씨 뿌릴 씨앗조차도 부족한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출을 어떻게 조정할 것이냐, 지출 조정을 통해서 가용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비효율적인 영역의 예산 지출들도 조정해서 효율적인 부분으로 전환을 또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밭은 많이 마련돼 있는데 뿌릴 씨앗이 없어서 밭을 묵힐 생각을 하니까 참 답답하다"며 "지금 한 됫박 빌려다가 씨 뿌려서 가을에 한 가마 수확할 수 있으면 당연히 빌려다가 씨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경제경영 신간 ‘컴플라이언스 3.0’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지난 2019년 ‘컴플라이언스의 세계’를 통해 컴플라이언스를 소개하는 입문서적을 출간했던 저자 이원준이 이번에 ‘컴플라이언스 3.0’(바른북스)이라는 제목으로 이전보다 더욱 다양하고 깊이 있는, 그리고 전문적이고 시의성 있는 내용들로 개정증보판을 출간했다. 저자는 현재 글로벌투자은행 서울지점의 준법감시인으로 재직 중이며, 지난 34년간의 근무기간 중 절반인 18년을 금융감독당국인 한국은행에서, 나머지는 민간분야인 금융회사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컴플라이언스 업무에 있어 감독기관과 피감독기관의 상반될 수 있는 시각을 법경제학자의 눈으로 균형감 있게 짚어 보고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이 책은 컴플라이언스 분야에서 고려해야 하는 거의 대부분의 주제를 다각적으로 다루고 있다. 누구든지 컴플라이언스가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들을 저자는 학문적인 연구와 우리나라 및 글로벌 금융감독 당국의 감독정책, 그리고 저자 자신이 겪은 현장에서의 실제 사례 등을 갖고 생동감 있게 기술하고 있으며, 현재 컴플라이언스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 역시 실제 업무 수행에 있어 고려하고 참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필요사항들을 총망라하고 있다. 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