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기욤♡송민서, 이것은 실제상황…'님과 함께 최고의 사랑'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가상 결혼프로그램의 핵심은 '진짜인 것처럼'이다. 시청자를 설레게 하고 더 나아가 대리만족하게 하려고 만드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JTBC '님과 함께 시즌2-최고의 사랑'에 가상 부부로 출연 중인 기욤 패트리(33)·송민서(32)는 '진짜처럼'이 아니라 진짜다. 이들은 사귄 지 3개월 만에 가상 결혼프로그램에 함께 출연하게 된 실제 커플이다.

일찍이 프로게이머로 유명했고 최근 '비정상회담'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등을 통해 활발히 방송 활동을 한 기욤 패트리와 달리 송민서는 직업배우이지만 대중에게 낯선 사람이다. 여자 배우로서 공개연애를 하는 데 따라오는 손해를 무릅쓰고 '님과 함께'에 출연하는 것에 대해 '뜨려고 한다'는 곱지 않은 시선이 따라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런 꼬리표나 악플을 예상 못한 건 아니에요. 하지만 제 인생에서 누군가를 만나서 결혼까지 생각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에요. 프로그램을 통해서 서로 말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알 수 있는 것도 많을 거라고 생각했고. 오빠랑 저의 미래에 대해서 많이 생각했던 것 같아요."(송민서)

 "좋은 경험이 될 수도 있지만 안 좋아질 수도 있어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사실 초창기에는 악플 때문에 힘들기도 했어요. 그런데 이제는 반응이 좋아진 것 같아서 편안하게 하고 있어요. 민서가 괜찮다면 저는 괜찮아요."(기욤 패트리)

애초에 제작진이 기욤 패트리를 섭외할 때 송민서를 염두에 둔 건 아니었다. 제작진은 기욤 패트리에게 여자친구가 있다는 것도 몰랐다. 그동안 방송에서 보여준 순박하고 어수룩한 모습을 보고 출연제의를 했을 때 여자친구의 존재를 알았다.

 "이름을 알리는 계기로 방송하는 건 저희 취지랑 맞지 않아서 저희도 고민했죠. (송민서를) 만나보니까 굉장히 착하고 순수한 면이 있고, 둘이 너무 좋아하는 게 느껴져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뭔가 이루고 싶다는 마음보다는 정말 서로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이 크다고 느꼈어요."(성치경 CP)

많은 사람들의 우려와는 달리 이들은 막 연애를 시작한 여느 커플처럼 알콩달콩 서로 알아가며 가상 결혼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기욤 패트리·송민서 커플이 출연하는 '님과 함께'는 매주 목요일 밤 9시30분 방송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