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경제

[이화순의 임팩트 인터뷰] 박은관 핸드백 왕, 한국문화 지킴이로 우뚝!

URL복사

박은관 시몬느 회장, 美 한국어마을 설립에 $500만 쾌척
세계 1위의 명품 핸드백 제조하는 마에스트로



[시사뉴스 이화순 기자] 한국에 대한 전세계 관심이 그 어느때 보다 높아진 이때, 미국 미네소타주 콩코르디아 언어마을의 한국어마을(Concordia Language Village:이하 CLV) 설립에 500만 달러(약 55억원)를 기부하는 기업가가 나타나 관심을 끌고 있다. 시몬느액세서리컬렉션(이하 시몬느)의 박은관(63) 회장. 세계 명품 핸드백 산업의 최고 리더인 그를 만나 신념과 소망을 들어보았다.

성공한 사업가라고 하면 왠지 치열한 경쟁 속에 차가운 전략가가 되어야만 가능할 것만 같다. 전세계서 판매되는 핸드 백 10개중 1개를 만드는 시몬느 박은관 회장을 만나는 순간, 그런 편견은 산산이 부서진다. 망망대해에 떠있는 함대 같은 묵직함 속에 여유로움을 보이는 스타일의 박 회장은 알고보면 인문학과 문화예
술을 사랑하는 속살 부드러운 타입이다.

아내의 애칭 ‘시몬느’로 회사 이름을 정하고, 연애하다 헤어져 재회한 날인 0914를 자체 브랜드명으로 삼은 것도 이채롭다. 이런 감성충만형 마에스트로에게서 버버리 마크제이콥스 마이클코어스 코치 토리버치 DKNY 등 전세계 멋쟁이들이 선호하는 명품 핸드백들이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제조업자 개발생산) 방식으로 탄생한다.

“당연히 핵심 역량에 집중해 건실하고 좋은 회사를 만들어야 한다”는 그는 38년전 시몬느를 창업한 이후 다음 7가지 를 사업가로서 계속 꿈꿔왔다고 말했다.




바로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자리매김 후, 신생사의 핸드백 인큐베이팅과 제조 돕는 시몬느 플랫폼 만들기,  오피스 캠퍼스 만들기(2003년 대한민국 건축대상 수상),  핸드백박물관 ‘백스테이지(Back Stage)’ 건립(2012년) , 핸드백용어사전 제작(2017년, 5개국어),  글로벌핸드백 브랜드 만들기(‘0914’ 브랜드, 2016년),  콩코르디아 한국어마을 조성 기금 기부,  핸드백 특화된 세계적인 디자인스쿨 건립 등이다.

“어떤 인연으로 CLV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알리기에 500만 달러를 기부하게 됐는가”라고 물었다.
“(빙긋 웃으며)처음 인연은 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8년 출근길에 라디오를 통해 한국어마을 촌장인 로스 킹(캐 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한국어과 교수) 박사가 ‘숲속 호수’라는 한국어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기부자를 찾는데 힘들다며 한국 정부와 기업의 관심을 촉구하고 있었다.

마음이 움직여 바로 로스 킹 박사를 찾았다.” CLV 프로그램은 57년된 언어프로그램. 1999년부터 1600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1년 과정 수준의 1~4주 심화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미약한 힘이라도 보태자”며 2008년 시작한 박 회장의 기부는 첫해에 3만달러, 그후 5만달러, 7만달러, 10만달러... 점차 액수를 늘리며 10년간 지속됐고 오늘에 이르렀다.

7월초 CLV 한국어마을의 첫삽을 뜬다. 콩코르디아 언어마을 전체에선 8번째, 아시아 언어마을로는 첫번째다. 덕분에 그동안의 러시아마을 셋방살이를 끝내게 된 셈.

한국어마을은 한국 전통적 마을. 8만평 대지 위에 안동 ‘병산서원’을 모티브로 단층 건물 6~7개, 그외 숙소와 강의실 연회용 누각 등으로 건립된다. 시몬느 회사의 한문이름인 世門을 딴 팔각정 세문정(世門亭)도 건축한다. 한국어 마을에 모인 외국인들은 한국인처럼 먹고 자고 생활하면서 한국말과 글 악기 춤 등을 배우게 된다.



6300년 노하우의 결정체, 아카이브 18만개

글로벌 핸드백명품기업으로 30여년 간 400명이 쏟은 6300년의 노하우와 그 결정체인 핸드백 아카이브 18만개가 주요 자산이자 보물이다. 이로써 신생사의 핸드백 신규 브랜드 론칭 및 콜라보 레이션 등 성장을 돕는 시몬느 플랫폼도 준비됐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한국의 핸드백 왕이 억만장자가 되다’라는 제목으로 박 회장이 자체 집계 기준 12억달러(약 1조 2900억원, 가족지분 61.9%) 보유 자산을 가졌다고 지난달 보도했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개인 보유자산이 아니라 회사 연매출을 이렇게 보도했다”며 손사레를 쳤다.

한편 그의 인문학과 문화예술에 대한 사랑은 여기저기서 보인다. 세계 최초의 ‘핸드백박물관’(2012년)을 열고, 가방 제조 현장에서 쓰는 단어 1006개를 정리해 ‘핸드백 용어사전’(2017년)을 이민수 이사 등 직원들, 연세대 문과대와 함께 5개국어로 3년간 준비해 출간했다.


거의 매년 신념음악회를 본사 1층에서 여는가하면, 국내외 사옥을 유명 작가의 회화 조각 등 미술품과 앤틱 가구 등 총 1000여점의 수집품으로 가꾸고 있다.

미국의 명문 패션스쿨인 파슨스디자인 스쿨과 함께 서울에 핸드백 디자인을 제조 개발하는 디자인스쿨 진행도 그에겐 큰 프로젝트다.

하지만 그에게도 어려움은 있단다. 핸드백 제조국에 대한 편견이다. ‘럭셔리 제품은 유럽 제품 아니면 안된다’는 시장의 편견을 깨기 위해 품질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장인 정신과 손 정성을 표준화 체계화 산업화했다. 손바늘 효과가 나게 컴퓨터 프로그래밍해서 미쯔비시 컴퓨터 미싱을 개발했고, 손으로 약칠해서 말리는 공정 72시간 건조 컨베이어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런 시몬느의 기업가치를 보고 세계 최대 규모의 사모펀드 블랙스톤은 시몬느의 지분 30%에  3억달러를 투자했다. 기업공개(IPO)도 해야 한다.  현재 박 회장의 장인정신은 큰 딸 박주원(31) 시몬느SFC 대표에게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