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푹푹 찌는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백화점과 할인점의 여름가전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이럴 때 더위를 이기기 위해 보양식을 많이 먹는다. 보양식도 체질 따라 계절 따라 잘 먹어야 보양식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 김진돈(운제당 한의원장, 한국노동교육원 객원교수, 경희대 한의대 외래교수, 대한형상의학회 부회장 겸 교수) 한의학 박사를 통해 여름철 무기력을 이기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더위 먹으면 인삼 들어가는 보양식 여름에는 낮 시간이 밤보다 길어 활동량은 증가되지만 무더위 때문에 식욕은 저하되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생활이 불규칙해지기 쉬우므로 전신피로와 무력감에 시달린다. 또한 피부가 많이 노출되기에 햇빛과 각종 해충의 공격에도 무방비 상태가 된다. 여기에 덥고 축축한 날씨에는 각종 병균이 자라기 쉬우므로 배탈이 잘 나고 염증이 잘 생기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만큼 여름에는 건강유지 위해 어느 계절보다 각별한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 인간은 사계절에 상응해서 살아가야 건강하다. 여름의 뜨거운 햇살이 곡식을 잘 여물게 하듯이 적당한 여름의 열기를 쬐어야 사람이 영글어가는 것인데 예전에는 여름에 생기는 병이 더위를 많이 먹어서 생겼다면 요즘에는 과도한 냉방으로 인한 병이 늘어가고 있다. 만일 더운 날 일을 많이 해서 더위를 먹으면 머리도 아프고 입맛도 없고 몸에 열이 나면서 갈증은 자꾸 나고 땀이 비 오듯 흐르며 움직일 기운이 하나도 없다면 이것은 더위에 기를 상한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인삼이 들어가는 생맥산이나 청서익기탕이 좋으며 특히 생맥산은 인삼 오미자 맥문동을 각각 20그램을 물 2리터에 넣고 약한 불로 달여 냉장고에 넣어두고 물로 마시면 간편하게 여름철 원기회복을 돕는다. 형상의학에서 생맥산은 소기증이나 주하병, 몸이 찬 사람에게 쓴다. 아이들 입(진액을 만드는 곳)이 마르고, 입술이 건조(진액이 새든지 못 만들든지)하고, 코가 약간 들리고 얼굴이 희면서 생기가 없을 때 남자는 팔물탕에 생맥산, 여자는 보중익기탕에 생맥산을 형상에 따라 합방해준다. 무기력증에는 닭고기 여름이면 나른하고 힘이 빠지고 무기력해지는데 음이 허하고 원기가 부족한 것이 주원인이다. 이때는 원기를 돋우면서 허리 아래를 보강해주는 보음약을 써준다. 첫째로 여름은 심왕신쇠(心旺腎衰)의 계절이라고 하는데 신장이 허해서 병이 온다. 여름은 잎이 무성하고 뿌리는 약해지는 시기이므로 여름에 성생활을 과도하게 하면 약한 뿌리가 더욱 약해지므로 건강에 많은 무리가 오고 심지어는 콩팥이 손상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콩팥 기능을 돋궈주는 식품을 먹어야 좋다. 대표적인 음식이 닭고기이다. 삼계탕과 보신탕을 여름에 많이 먹는 이유 중의 하나다. 둘째로 여름은 습열이 성한 계절이다. 습열(濕熱)이 성해서 온다. 증상은 몸이 무겁고 잘 부으며 마목이 오기도하고, 다리에 힘이 없고 머리가 맑지 않기도 한다. 셋째로 여름은 간(肝)이 허해지는 계절이다. 봄은 간이 임금노릇을 하다 지쳐서 여름에는 허해진다. 간이 허해서 온다. 이때 간을 보해 주어야 한다. 주로 보간환, 인삼양영탕, 쌍화탕 등을 형상과 체질에 따라서 사용한다. 넷째로 서병, 서풍(냉방병)에 의해서 온다. 다섯째로는 생냉지물(生冷之物)을 너무 많이 먹어서 온다. 여름철은 속은 차고 겉은 열하므로 지나치게 찬 음식을 많이 먹으면 쉽게 배탈이 나고 설사등 수인성 전염병에 걸리기 쉽다. 이때는 속을 따뜻하게 하는 음식을 섭취하고 또한 단백질과 비타민 등이 많은 보양식품 등을 먹는 것이 좋다. 태양인은 붕어찜 먼저 대표적인 음식으로 복날 보양식으로 삼계탕이 있다. 닭고기는 다른 육류와는 달리 근육 속에 지방이 섞여 있지 않아서 맛이 담백하고 근섬유가 가늘어 소화흡수가 잘 된다. 또한 중기를 따뜻하게 보하고 정력을 다지면서 골수를 보해준다. 과로나 비장이 약하여 식욕이 없고 소화도 잘 안 되며 소갈이나 소변빈삭, 설사, 붕루하혈, 대하증 등을 치료하고 병후 허약증 등에 효과가 있다. 특히 삼계탕에 들어가는 인삼이나 황기는 여름철에 땀의 배설이 지나쳐 기운이 처질때 기운을 나게 하고, 황기는 땀분비를 조절하여 여름에 다용되는 약재다. 태양인은 열이 많은 체질이므로 삼계탕은 별로지만 오히려 붕어찜 등이 좋다. 소양인 체질은 양의 기운이 강하므로 더운 음식을 좋아하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몸을 덥혀주는 삼계탕이나 인삼보다는 오리고기로 보양하는 것이 이롭다. 개고기도 피하는 것이 좋다. 태음인 체질은 오히려 삼계탕이 맞는 편이며 육개장 등도 원기를 돋구는데 좋다. 삼계탕에 갈근이나 더덕 등을 우려낸 국물에 밤과 닭을 넣고 끊이면 땀이 많은 태음인에게 좋은 여름철 보양식이 된다. 돼지고기는 피하는게 좋다. 소음인에게 삼계탕이 가장 잘 맞는 보양식이다. 속이 냉하고 기력이 약한 소음인은 삼계탕과 보신탕이 여름철 보양에 아주 좋다. 여기에 인삼이나 찹쌀이나 황기, 대추 등을 넣어서 끓이면 기력도 보충되고 소화에도 도움을 준다. 하지만 돼지고기나 냉면 참외, 풋과일, 빙과류 등 찬 음식 등은 절제하는 것이 좋다. 열성체질에는 보리밥 나라마다 문화 차이가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하는 식품인데 다음으로 보신탕을 들 수 있다. 개고기는 구육이라 하여 비장과 위장이 허약한 것에 효과적이고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하며 무기력한 것을 따뜻하게 하며 기력을 보강해주며 양기를 보강해준다. 또한 체내흡수가 다른 육류보다 용이하여 비위가 냉하여 여름철이면 쉽게 체하거나 설사를 자주하는 소음인에게 이롭다. 하지만 지나친 섭취는 신체를 열하게 하여 노년에 눈이 침침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열이 많은 사람은 삼가는 것이 좋다. 여름철 무기력에 빠질 때 치료법으로 여름은 간이 무척 지쳐있는 계절이이다. 살구 복숭아, 부추, 자두 등을 먹어서 간을 보해 준다. 현대인은 자연에 상응하여야 건강하므로 언제나 제철에 나는 것을 먹는 것이 건강에 이롭다. 복숭아, 살구 등과 같이 겉은 부드럽고 속에 딱딱한 씨가 들어 있는 과일이 여름철 전체적인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여름철 과일들은 대개 신맛이 많은데 심장기능을 좋게 해 주므로 더위를 이기는데 큰 역할을 한다. 보리도 여름에 더위를 이기는 식품이므로 보리밥은 여름철에 먹는 음식이다. 고로 열성체질에는 보리가 좋다는 뜻도 된다. 특히, 공부하는 수험생들은 여름을 잘 지내야 하므로 제철에 나는 음식과 과일을 섭취해주면 좋다. 그리고 꾸준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또 매사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로 생활하는게 건강유지에 좋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