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LG엔솔, 균등 배정으로 사실상 1주도 어려울 듯…청약 오늘 마감

URL복사

 

 

첫날 경쟁률 미래에셋 '최고' 하이투자 '최저'
미래에셋, 증거금 1억원 넣으면 비례 3주에 균등 0주
하이투자, 1억원 청약시 비례 38주에 균등 4주로 차이
최종마감 직전 '눈치 경쟁 '치열 전망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기업공개(IPO) 사상 최대어로 꼽히는 LG에너지솔루션의 공모주 청약이 19일 오후 4시 마감된다. 청약 첫날에는 청약을 접수한 7개 증권사 평균 경쟁률 20대 1 수준으로 증거금이 32조원 넘게 몰렸다.

 

50%씩의 균등과 비례 배정 방식으로 눈치싸움이 치열한 만큼 이날 경쟁률과 증거금이 큰 폭으로 올라갈 전망이다. 균등 배정으로는 사실상 1주도 기대하기 어려워지면서, 비례 방식으로 공모주를 하나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자금을 최대한 투입하는 경쟁이 예고되는 상황이다.

 

LG에너지솔루션 상장 대표주관사인 KB증권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청약 첫날인 전일 공모주 총 1062만5000부 배정에 2억1764만4660주 신청이 몰리면서 경쟁률 20.48대 1을 기록했다. 청약 건수는 237만5301건, 증거금은 32조6467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사별 경쟁률을 보면 미래에셋증권이 95.87대 1로 현재 가장 높은 상황이다. 22만1354주 배정에 2122만680주가 집중됐다. 자기자본 10조원이 넘는 국내 최대 증권사로 기존 고객이 많은 반면, 배정 주식은 가장 적어 경쟁률이 치솟은 것으로 풀이된다.

 

청약 건수는 29만2658건으로 균등 배정으로는 1주도 받지 못하는 투자자가 첫날에만 18만1981명에 이른다. 청약 건수가 균등 배정 물량을 넘으면 투자자는 추첨을 통해 최대 1주를 받게 된다.

 

비례 배정 방식으로는 증거금 1억원을 넣으면 현재 경쟁률로 3~4주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날 경쟁률이 더 오르면 3주를 밑도는 수준으로 내려가게 된다.

 

앞서 청약 경쟁률이 600대 1을 넘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경우 1억원의 증거금을 넣으면 2주를 받은 바 있다. 카카오게임즈와 SK바이오사이언스, 현대중공업 등 대어들도 1억원 청약 시 5주 수준에 그쳤다.

 

하나금융투자는 경쟁률 28.59대 1로 미래에셋의 뒤를 이었다. 하나금투 역시 22만1354주로 가장 적은 물량을 배정받았다. 청약은 5만482건이 몰렸다.

 

대표주관사인 KB증권의 경쟁률은 25.24대 1로 집계됐다. KB증권은 486만9792주로 가장 많은 물량을 배정받았다. 청약 건수는 129만9764건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진 균등 배정으로 건당 1.87주가 돌아가지만 이날 경쟁률이 치솟으면 KB증권 역시 0주로 내려갈 수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15.8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243만4896주 배정에 청약 건수는 41만550건이 몰렸다.

 

신영증권 경쟁률은 11.46대 1 수준이다. 22만1354주 배정에 청약 2만7941건이 모였다.

 

대신증권과 하이투자증권인 아직까지 한 자릿수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대신증권은 9.87대 1을 나타냈다. 243만4896주 배정에 청약 29만2658건이 접수됐다.

 

하이투자증권은 8.76대 1로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22만1354주 배정에 청약은 2만4933건이 들어왔다. 하이투자증권의 경우 현재 경쟁률로 1억원을 넣으면 비례로 38주, 균등으로 4주 이상을 받을 수 있다.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청약 마감일 투자자가 대거 몰리는 만큼 이날 증권사별 경쟁률이 대폭 치솟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균등 배정으로는 1주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날 경쟁률을 참고해 이날 마감 직전까지 1주라도 더 받기 위한 눈치경쟁도 치열하게 펼쳐질 전망이다. 이 경우 증권사별 경쟁률 차이는 점차 좁혀지게 된다.

 

이경준 혁신투자자문 대표는 "투자자들이 최종마감 직전에 증권사별 경쟁률을 확인하고 청약하는 막판 러시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경훈 서울시의원, “학업중단숙려제 악용 사례 보고돼··· 제도의 미비점 메꿔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경훈 의원(국민의힘, 강서5)이 지난 1일 제332회 임시회 서울시교육청 정책국 질의에서 학업중단숙려제가 악용되고 있는 사례를 지적하고 숙려제 신청 절차 및 승인 기준을 재검토하여 제도의 본래 취지를 살리도록 당부했다. 학업중단숙려제는 학생이 학교 폭력이나 가정 문제, 진로 고민 등으로 자퇴하려는 학생에게 일정 기간 이를 숙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학생이 왜 학업을 그만두려고 하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컨설팅이나 대안 교육기관으로의 안내 등 지원책에 대해 충분히 안내받도록 돕는 제도에 속한다. 서울시교육청이 제출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학업중단숙려제 현황’에 따르면 작년 3,359명의 학생이 숙려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799명보다 약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2020년이 코로나 시기였음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의 숙려제 이용 횟수는 현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김경훈 의원은 “교육청에서 나름의 지침을 가지고 학업중단숙려제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 무색하게도 최근 들어 이 제도를 ‘공식적 장기 결석’을 통한 자유 시간 및 휴식 수단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문화

더보기
차와 어울리는 다양한 음식과 찻자리 문화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차음식과 찻자리’를 펴냈다. 권정순 박사와 조헌철 박사가 공동 집필한 이번 책은 ‘봄빛향의 차생활 시리즈’의 세 번째 책으로, 오랜 연구와 실천을 토대로 차와 어울리는 다양한 음식과 찻자리 문화를 총망라했다. 권정순 박사는 원광대학교와 세종대학교 등에서 차문화와 식품양생학을 가르쳐 온 학자로, 현재 한국전통음료연구소 소장이자 봄빛향문화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봄빛향의 차생활’, ‘차음식과 차음료’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전통차와 음식의 융합을 꾸준히 탐구해 왔다. 조헌철 박사는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와 원광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부산대학교와 명지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차문화와 문학, 민화 연구를 이어 왔다. 현재 풍석차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며 ‘나무는 모여 숲이 되었고’ 등 저서를 출간한 바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차를 즐기는 문화는 점점 확산되고 있지만, ‘차음식’이라는 개념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 이 책은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차와 음식의 관계를 폭넓게 탐구한다. 찻물·찻잎·찻가루를 활용한 음식은 물론, 차 향을 살린 전통·현대 요리 그리고 찻자리에 어울리는 다양한 음식들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