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오는 17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코로나19 7차 유행이 시작되자 교육부가 서울·경기 지역 수능 준비상황을 점검한다.
교육부는 13일 오후 4시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서울, 경기 지역 코로나19 관련 수능 준비상황 점검회의'를 영상으로 개최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주재하며 서울·경기 부교육감과 각 교육지원청 교육장 등이 참여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서울·경기 지역의 안전한 수능 시행을 위한 협조 체계를 확인하고, 격리대상 수험생에 대한 지원 계획을 논의한다.
지난 11일 이후 코로나19에 확진된 수험생은 7일간 격리 대상자다. 이 경우 추가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별도 시험장과 시험실에서 수능에 응시하게 된다. 병원에 입원한 경우 의료진 관찰 아래 병원 시험장에서 시험을 치른다.
특히 서울·경기 지역은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는 만큼 시험장 배치 변수 역시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수능 지원자 50만8030명 중 서울·경기 지역에 절반에 가까운 25만3388명(49.9%)이 집중돼 있다.
교육부는 지난 3일부터 질병관리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공동상황반'을 구성해 격리대상 수험생 발생상황을 점검하고, 지자체 및 시·도 교육청 '현장관리반'을 운영하고 있다.
장 차관은 "수험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안심하고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며 "수험생이 밀집한 서울·경기 지역은 교육청, 교육지원청, 지자체가 협업해 격리 대상 수험생의 원활한 응시 지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