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9.5℃
  • 맑음서울 10.1℃
  • 박무대전 7.5℃
  • 박무대구 9.6℃
  • 박무울산 12.2℃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7.5℃
  • 맑음제주 16.3℃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5.5℃
  • 맑음강진군 8.3℃
  • 맑음경주시 9.5℃
  • 맑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경상북도 문경시, 연간 재정규모 1조 원 시대 눈앞

URL복사

2022년 대비 860억 원(10.31%) 증액한 9,200억 원 규모

 

[시사뉴스 강영진 기자] 문경시는 “긍정의 힘, Yes 문경” 실현을 위한 2023년 예산안을 9,200억 원 편성하여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번 예산안은 본예산 역대 최대 규모로 2022년 대비 860억 원(10.31%)이 증액되었으며 일반회계가 800억 원이 증가한 8,180억 원, 특별회계는 60억 원이 증가한 1,020억 원이다.

 

민선8기 출범 이후 처음 편성하는 본예산 안은 문경의 비전을 담고 있는 주요 공약사업과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현안 사업에 중점을 두어 속도감 있고 체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방향으로 편성하였다.

 

주요 공약 추진 사업 예산으로 ▲공약사업 등 신규 사업 발굴 용역 3억 원 ▲케이블카 조성 각종 영향평가 및 실시설계 등 27억 2천만 원 ▲전국단위 스포츠 대회 유치 30억 4천만 원 ▲농업 분야 보조금 지원 확대 563억 9천만 원 ▲축산업 보조금 지원 확대 88억 원 ▲농촌인력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 34억 3천만 원 ▲도시가스 조기 공급 10억 원 ▲문경새재 전기자동차 확충사업 22억 원 등을 편성하였고, 특히 농·축산 분야 보조금을 지난해 대비 약 234억 8천만 원을 증액 편성하여 어느 때 보다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농가 소득증대에 집중 투자한다.

 

또한 지역경기 활성화를 위한 예산으로 ▲지역상품권 운영 60억 7천만 원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6억 2천만 원 ▲사회적기업 등 일자리 창출사업 7억 2천만 원 ▲청년일자리 사업 2억 7천만 원 ▲상권 르네상스사업 7억 9천만 원 ▲소상공인 시설 및 경영개선 지원사업 3억 5천만 원 등을 편성하여 장기간 계속되고 있는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내 소상공인, 영세업자, 청년 등 서민 생활 안정에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국비 예산이 전액 삭감된 지역상품권 예산은 자체 시비를 적극 투입하여 내수 진작을 통한 지역 경기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인구감소 대응과 인구 유입 예산으로 ▲인구증가시책 지원사업 20억 4천만 원▲귀농·귀촌 맞춤형 정착 지원 7억 원 ▲도시민 농촌유치 지원사업 2억 3천만 원

▲출산장려금 13억 원 ▲첫만남 이용권 지원 5억 6천만 원 등을 편성하여 인구증가를 통한 지방소멸 위기 극복과 지역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신현국 문경시장은 “경제 여건 악화로 어려운 재정 상황이지만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지역 경기 회복을 위해 반드시 추진해야 할 사업 위주로 편성했으며, 특히 내년도에는 전국 단위 스포츠 대회의 적극적인 유치로 지역 경기 활성화를 견인하는데 시정의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민선8기 공약사업과 주요 역점사업들을 속도감 있고 역동적으로 추진해 시민들이 새로운 변화를 통해 지역 발전을 체감할 수 있도록 사업 예산을 조기에 집행하는데 중점을 두고 시정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제출한 2023년도 본예산 안은 12월 2일 개최되는 제262회 문경시의회 정례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4일 최종 확정된다.

 


Mungyeong City compiled a budget plan for 2023 to realize "Positive Power, Yes Mungyeong" and submitted it to the city council. The budget bill is the largest ever, with 86 billion won (10.31 percent) increased from 2022, with general accounts up 80 billion won to 818 billion won and special accounts up 6 billion won to 102 billion won.

 

The main budget bill, which was drawn up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launch of the 8th popular election, was organized to promote the project in a speedy and systematic manner, focusing on major pledge projects containing Mungyeong's vision and pending projects.

 

▲ 300 million won for discovering new projects such as the pledge project ▲ 2.72 billion won for cable ca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design ▲ 3.04 billion won for national sports competitions ▲ 56.39 billion won for agricultural subsidies ▲ 8.8 billion won for agricultural subsidies ▲ 3.43 billion won for urban gas supply.

▲ 6.07 billion won for regional gift certificates ▲ 620 million won for local community jobs ▲ 720 million won for social enterprises ▲ 270 million won for youth jobs ▲ 750 million won for commercial Renaissance projects ▲ 350 million won for small business facilities and management improvement projects.

 

▲ 2.04 billion won for population growth policy support project ▲ 700 million won for customized settlement support for returnees and returnees ▲ 230 million won for urban residents' rural attraction support project

▲ Childbirth incentives of KRW 1.3 billion ▲ KRW 560 million in support of the first meeting voucher will be organized to seek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and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population growth.

 

Mayor Shin Hyun-guk said, "We will focus on projects that must be pursued to recover the local economy due to worsening economic conditions. In particular, we will focus on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actively attracting national sports competitions next year."

 

The 2023 main budget bill submitted this time will be finalized on December 14 after deliberation at the 262nd Mungyeong City Council regular meeting to be held on December 2.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여야 예산전쟁 시작..“법정기일 안에 반드시 처리”vs“건전재정과 지속가능한 성장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4일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 대해 여야는 상반된 입장을 나타내며 예산안 심의에서 정면충돌을 예고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내년도 예산안을 반드시 법정기일 안에 국회에서 통과시킬 것임을, 야당인 국민의힘은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임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는 5일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이재명 대통령의 시정연설이 있었다”며 “민주주의와 민생에 드리운 윤석열 불법 계엄의 그림자를 완전히 걷어내고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3대 강국 대한민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비전을 그려내는 명연설이었다”고 말했다. 정청래 당대표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은 AI 3대 강국 대한민국의 시대를 여는 첫 번째 예산이 될 것이다”라며 “2026년은 이재명 정부가 스스로 편성한 예산을 가지고 국가를 운용하는 첫 해인 만큼 더불어민주당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법정기일 안에 반드시 처리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현행 헌법 제54조제1항은 “국회는 국가의 예산안을 심의·확정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