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포항시 대련리 임야에 폐기물 대량 매립

URL복사

공무원, 신고에도 조사하지 않고 방치

 

[시사뉴스 장창우 기자] 경북 포항시 흥해읍 대련리에 건축폐기물로부터 나온 순환골재와 일부 제대로 처리 되지 않은 폐기물이 상당량 매립되어 있으나 포항시는 적법하다며 이를 묵인해 비난을 싸고 있다.

 

24일 다수의 제보자들에 따르면 건축폐기물 분쇄 순환골재와 이를 제대로 분쇄하지 않은 건축 폐기물 상당량이 이 지역에 매립되어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제보자 중 박 모씨는 “임야에 매립된 폐기물에 대해 포항시에 신고해 담당공무원 입회아래 중장비를 동원해 2차례에 걸쳐 현장을 파 헤쳤다”며 “당시 매립지에서 나온 폐기물을 제보자와 현장 확인공무원이 함께 시료를 채취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 담당공무원은 “육안으로 봐도 허가난 순환골재로 성토가 가능한 성분이라 검사의뢰를 할 필요가 없다”고 밝히고 “산지전용허가 난 이후 매립된 것으로 불법으로 볼 수도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제보자 박 모씨는 “포항시에서는 이 지역의 산지전용허가 시기가 2020년 이라고 말했으나 복수의 제보자들 말에 의하면 불법 매립시기는 그 이전 시기라고 한다며 잘못된 사실을 이야기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지역 임야의 폐기물들은 포항시의 주장과 달리 성토용으로 생산된 순환골재가 아니기 때문에 임야에 매립이 불가능한 폐기물"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함께 "매립된 임야지역에는 순환골재 뿐만 아니라 반출 불가능한 처리되지 않은 폐기물도 상당량 섞여 있다"고 주장하며 포항시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다.

 

또 “매립 당시 함께 작업한 중장비 기사의 증언과 중장비로 현장을 파낸 결과를 토대로 계산하면 수천톤의 순환골재와 폐기물이 묻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제보자 박 모씨는 "현재 불법폐기물과 관련하여 해당지역 임야 지주와 매립한 폐기물처리업체에 대해 검찰에 고발했다“며 ”직무유기를 하고 있는 공무원에 대해서도 추가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지역은 고속도로변 조용한 시골마을이나 이미 드러난 이곳 임야를 비롯해 주변 주거지역과 농로 등 상당수 지역에 출처를 알 수 없는 순환골재들이 성토되어 있어 이에 대한 적법 여부의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Daeryun-ri, Heunghae-eup, Pohang-si, Gyeongsangbuk-do, a considerable amount of recycled aggregate from construction waste and some poorly disposed waste are buried, but Pohang-si is criticizing it by condoning it as legitimate.

 

According to a number of informants on the 24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building waste that has not been properly pulverized and recycled aggregate has been buried in the area.

 

Among the informants, Park said, "We reported the waste buried in the forest to Pohang City and dug up the site twice with heavy equipment under the presence of the official in charge. At that time, the informant and the on-site confirmation officer collected samples together."


However, a public official in charge at the time said, "There is no need to request an inspection because it is a component that can be made from recycled aggregates that have not been approved even on the naked eye," and added, "It cannot be considered illegal because it was reclaimed after the approval was granted for the production area."

 

However, the informant, identified only by his surname Park, claimed, "The Pohang city government said that 2020 was the year of the permit for the exclusive use of mountainous areas in the area, but according to multiple informants, the illegal reclamation period was before that."

 

In addition, it is argued that "the wastes of forest land in this area cannot be reclaimed in forest land because they are not recycled aggregates produced for forest land contrary to Pohang City's claim."

 

In addition, he urged a thorough investigation by Pohang City, claiming that "the reclaimed forest area contains not only recycled aggregates but also a considerable amount of untreated waste that cannot be taken out."

 

He also said,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heavy equipment engineer who worked together at the time of the landfill and the results of digging the site with heavy equipment, we believe that thousands of tons of recycled aggregates and waste will be buried."

 

The informant, identified only by his surname Park, said, "We have filed a complaint with the prosecution against forest landowners in the area and waste disposal companies buried in connection with illegal waste. We will also file additional charges against public officials who are neglecting their duties."

 

Meanwhile, this area is expected to need to be investigated for its legality as many unknown recycled aggregates are found in quiet rural villages along the highway, forest fields already revealed, and surrounding residential areas and farm road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이노비즈협회, '글로벌 혁신 기업의 돌파전략' 주제로 제93회 모닝포럼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노비즈협회는 오는 29일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 아도니스홀에서 「새로운 신시장을 개척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의 돌파전략」을 주제로 ‘제93회 이노비즈 모닝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모닝포럼은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 속에서 이노비즈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강형근 HK&Company 대표를 초청해 실전 경영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재편, ESG 경영, 디지털 전환 등 산업 전반의 구조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중소기업은 기존 내수 중심 성장 모델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협회는 ‘신시장 개척’과 ‘혁신 경영전략’을 통해 이노비즈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이번 포럼을 기획했다. 특히 이날 강연자로 나서는 강형근 대표는 아디다스코리아에서 브랜드 리포지셔닝과 시장점유율 확대를 주도한 인물로, 글로벌 기업에서 축적한 조직혁신, 브랜드 전략, 리더십 전환의 노하우를 이노비즈기업의 현실에 맞춰 전달할 예정이다. 포럼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 10월 24일(금)까지 이노비즈협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하면 된다. 협회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제주의 가을 바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음악 페스티벌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와 제주콘텐츠진흥원,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10월 24일(금) 오후 6시 30분 제주 탑동해변공연장에서 ‘2025 음악실연자 페스티벌(Fall in JEJU, Music ON)’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음악실연자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다양한 음악 향유 기회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제주콘텐츠진흥원, 하이톤이 협력해 추진된다. ‘음악실연자 페스티벌’은 음반에 가창 또는 연주자로 참여했으나 정보 미기재 등의 사유로 분배받지 못한 음악실연자들의 미분배 보상금을 재원으로 활용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공익목적으로 개최하는 음악 축제다. 행사를 통해 음악실연자의 권익 보호와 음악 저작권에 대한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대중에게는 티켓 구매 부담 없이 무료로 수준 높은 라이브 음악 무대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페스티벌은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와 제주콘텐츠진흥원이 지난 4월 1일 체결한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양 기관은 지역 음악실연자의 창작 지원과 문화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공동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첫걸음으로 이번 행사를 공동 기획하게 됐다. 한국음악실연자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