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9.5℃
  • 맑음서울 10.1℃
  • 박무대전 7.5℃
  • 박무대구 9.6℃
  • 박무울산 12.2℃
  • 맑음광주 11.4℃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7.5℃
  • 맑음제주 16.3℃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5.5℃
  • 맑음강진군 8.3℃
  • 맑음경주시 9.5℃
  • 맑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대구시 장애공감 서포터즈, 온라인 넘어 시민 속으로!

URL복사

제4기 대구시 장애공감 서포터즈와 함께하는 장애인식 개선 캠페인 개최

 

[시사뉴스 강영진 기자] 대구시 장애공감 서포터즈가 11월 26일(토) 오후 1시부터 동성로 구.대구백화점 중앙무대 앞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장애인식 개선 캠페인을 펼친다.

 

‘비켜가면 벽이 되고 다가가면 하나 되는 사회’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은 제4기 대구시 장애공감 서포터즈의 도움으로 시민의 주체적인 참여를 끌어내 ‘장애로 인한 차이와 다양성이 활력이 되는 도시 대구’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개최된다.

 

이날 참여하는 시민들은 점자블록·안내판, 경사로, 휠체어 리프트 등 장애인 편의시설을 찾아 촬영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울려 살아가야 하는 사회임을 깨닫는 기회를 가지며 이를 사회관계망(SNS)에 공유하면 소정의 기념품도 받을 수 있다.

 

또 장애공감 부스에서는 점자촉각 엽서 읽기, 수어 도장 찍기 등을 체험할 수 있고, 장애공감 퍼포먼스를 젊은층에게 인기 있는 인생네컷으로 촬영해 행사명 등을 함께 인화한 사진을 소장할 수 있다.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공감 퀴즈 맞히기와 장애공감 서포터즈 공식 사회관계망(SNS)을 팔로우하고 설문조사 참여 및 서포터즈 홍보를 하면 그립톡, 커피쿠폰 등 상품도 받을 수 있다.

 

대구시는 2019년부터 지자체 단위에서는 유일하게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서포터즈 운영을 시작해 매년 일반시민의 신청을 받아 서포터즈로 위촉·운영해 왔으며, 올해도 31명의 대학생과 시민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창의적인 장애공감 콘텐츠를 기획해 제작, 확산하고 있다.

 

김동우 대구시 복지국장은 “지난 9월부터 활동해 온 제4기 대구시 장애공감 서포터즈가 온라인을 넘어 보다 많은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면서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Daegu City's Disability Empathy Supporters will be in Dongseong-ro-gu from 1 p.m. on November 26 (Sat).In front of the central stage of Daegu Department Store, a campaign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ilities with citizens will be held.

 

Under the slogan of "A society that becomes a wall if you move away and become one if you approach it," the campaign will be held to bring out citizens' independent participation with the help of the 4th Daegu City Disabled Empathy Supporters to deliver the message of "Daegu City where differences and diversity are vital."

 

Citizens who participate on this day have the opportunity to find and film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uch as braille blocks, information boards, ramps, and wheelchair lifts, and to realize that it is a society wher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should live together, and they can receive a small souvenir on social networking sites.

 

In addition, you can experience reading Braille tactile postcards and stamping sign language at the Disability Empathy booth, and you can take pictures of the disability empathy performance in four cuts of life popular among young people and print the event name together.

 

You can also receive products such as grip talk and coffee coupons by guessing disability empathy quizzes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ility, following disability empathy supporters' official social networking sites, participating in surveys, and promoting supporters.

 

Since 2019, Daegu City has been the only local government to operate supporters to improve disability awareness and has been commissioned and operated as supporters every year at the request of ordinary citizens. This year, 31 college students and citizens plan and produce and spread creative disability empathy content online and offline.

 

Kim Dong-woo, director of the Daegu City Welfare Bureau, said, "We hope that the 4th Daegu City Disability Empathy Supporters, which have been active since September, will lead more citizens to participate beyond online and expand their understanding and empathy."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여야 예산전쟁 시작..“법정기일 안에 반드시 처리”vs“건전재정과 지속가능한 성장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4일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 대해 여야는 상반된 입장을 나타내며 예산안 심의에서 정면충돌을 예고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내년도 예산안을 반드시 법정기일 안에 국회에서 통과시킬 것임을, 야당인 국민의힘은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임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는 5일 국회에서 개최된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이재명 대통령의 시정연설이 있었다”며 “민주주의와 민생에 드리운 윤석열 불법 계엄의 그림자를 완전히 걷어내고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3대 강국 대한민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비전을 그려내는 명연설이었다”고 말했다. 정청래 당대표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은 AI 3대 강국 대한민국의 시대를 여는 첫 번째 예산이 될 것이다”라며 “2026년은 이재명 정부가 스스로 편성한 예산을 가지고 국가를 운용하는 첫 해인 만큼 더불어민주당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법정기일 안에 반드시 처리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든든하게 뒷받침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현행 헌법 제54조제1항은 “국회는 국가의 예산안을 심의·확정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