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사진 왼쪽부터] 정두현 병리과장(3번째), 왕규창 초대 뇌은행장(4번째), 김영태 서울대병원장(5번째),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6번째), 박성혜 치매 뇌은행장(7번째).(사진=서을대병원 제공)</strong><br>
](http://www.sisa-news.com/data/photos/20250729/art_175248864985_0ad932.jpg)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은 지난 10일, 의생명연구원 윤덕병홀에서 ‘치매 뇌은행 설립 1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10년간의 성장과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바이오뱅크의 데이터 혁신과 뇌질환 극복을 위한 비전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됐다.
치매 뇌은행은 그간 알츠하이머병, 다계통위축증(MSA), 루이소체 치매 등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와 진단기술 개발을 위한 뇌자원을 안정적으로 수집·관리·분양하며, 국내 뇌연구 생태계와 바이오뱅크 네트워크 구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날 행사에는 치매 뇌은행 설립을 주도했던 관계자들과 각계 인사들이 참석해 그 의미를 되새기고 기증자, 연구자, 코디네이터 등 뇌은행을 이끌어온 모든 관계자들의 헌신을 돌아보며 향후 10년을 준비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서울대병원 초대 뇌은행장이었던 왕규창 명예교수(전 서울의대 학장)는 설립 당시 방영주 전 의생명연구원장의 지원과 박성혜 교수, 박철기 교수, 코디네이터들의 헌신이 뇌은행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회고하며, 서울대병원 치매 뇌은행이 앞으로 세계적 경쟁력을 갖는 뇌연구의 핵심 기관으로 도약하길 기대했다. 행사에서는 치매 뇌은행 발전에 기여한 교수진과 요양병원장에게 감사장이, 뇌은행 연구원 및 코디네이터에게는 표창장이 수여됐다.
이어 진행된 심포지엄은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박성혜 뇌은행장이 지난 10년간의 자원 확보와 분양 실적, 병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성과를 소개하고, 향후 기증자 예우 강화, 정밀 자원정보 시스템 구축, 맞춤형 분양 시스템 추진, 다각적 협력 연구 등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국립보건연구원 이대연 바이오뱅크과장은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5기 추진전략을 발표하며 ▲디지털 대전환을 통한 자원 가치 극대화 ▲분양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활용 성과 확산 ▲가버넌스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뱅크 생태계 조성 등 3대 전략과 이를 뒷받침할 국내 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orea Biobank Network) 운영 방향을 소개했다.
2부에서는 치매 뇌은행 분양 자원을 활용한 주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상원 삼성서울병원 초대 뇌은행장은 한국인 코호트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 뇌 영상이미지와 혈액 내 Tau 217 농도를 활용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을 예측한 결과를 소개하며, Tau 217이 비침습적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가능성을 강조했다.
서울의대 이승재 교수는 MSA 환자 뇌조직 분석을 통해 알파시누클린(a-synuclein) 축적이 TLR2 수용체 활성화에 의해 유도되며, 억제제 사용 시 축적이 감소함을 확인함으로써 TLR2가 MSA 치료의 새로운 표적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어 국립보건연구원 최지영 박사는 치매 감별진단을 위한 바이오지표 개발 성과를 공유했고, 서울대 생명과학부 정용근 교수는 알츠하이머 환자 뇌조직 분석을 통해 ALK의 발현과 기능 및 프로테아좀 시스템의 병리적 역할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3부 세션에서는 서울대병원 병리과 김성익 임상강사와 원재경 교수가 기증된 실제 증례를 바탕으로 신경퇴행성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을 심도 있게 설명했으며, 뇌조직 자원이 임상연구와 교육에 어떻게 실질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공유해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서울대병원 치매뇌은행은 이번 10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통해 뇌기증의 의미와 뇌은행의 역할을 되새기고, 첨단 병리 데이터 기반 연구의 청사진을 공유하며 향후 10년의 도약을 다짐했다. 앞으로도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치매 등 뇌질환 극복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서울대병원 치매 뇌은행이 국내 뇌연구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기증자와 연구진, 그리고 각계의 지원과 협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선도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2026년부터 시작되는 제5기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에서는 국가 인체유래 바이오뱅크의 데이터 혁신과 통합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며, 이 사업에 뇌은행이 참여하여 국제적 수준의 운영 표준화 도입을 통해 다시 한번 크게 도약하는 기회를 가졌으면 한다”고 밝히며 “뇌은행과 같은 전문 자원은행이 치매와 퇴행성 신경질환 등 국가적 난제 해결의 핵심 역할을 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