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나스닥거래소가 중국계 기업을 겨냥해 상장 요건을 대폭 강화했다. 최근 중국계 기업의 미국 진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소규모 기업의 기업공개(IPO) 후 주가 급등락 등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나스닥은 3일(현지 시간) 성명을 통해 중국에 기반을 둔 기업을 대상으로 상장 규정을 개정했다고 발표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나스닥에 상장하려는 중국계 기업은 최소 2500만 달러(약 350억원) 이상의 공모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순이익 기준 상장을 추진하는 기업의 경우, 상장 시 요구되는 공개 유통주식의 가치는 기존 500만 달러에서 1500만 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아울러 시가총액이 500만 달러에 미치지 못하는 상장기업에 대해 거래 중단 또는 상장 폐지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기로 했다.
존 제카 나스닥 법무·규제 담당 부사장은 “이번 조치는 시장 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기준 정비의 일환”이라며 “일반 투자자 보호와 시장 유동성 개선을 위한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기준 강화는 최근 중국계 기업들의 미국 상장 신청이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른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나스닥은 이미 해당 개정안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했으며, 승인 시 즉시 시행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나스닥은 지난해 6월에도 홍콩 및 중국 본토의 소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IPO 심사를 강화한 바 있다. 당시 나스닥은 일부 중국·홍콩 기업의 상장 직후 주가 급등락 현상을 사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현재 알리바바, 바이두 등 280개 이상의 중국 기업이 미국 주요 증시에 상장돼 있으며, 이들 기업의 총 시가총액은 3월 기준 약 1조1000억 달러에 이른다.
다만 최근 몇 년 사이 대형 중국 기업의 미국 IPO가 자취를 감춘 반면, 소규모 기업 위주의 상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중국 기업들의 평균 IPO 규모는 5000만 달러로, 2021년(3억 달러 이상) 대비 크게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