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사회

<속보>68금양호 침몰 해경 늑장 출동 드어나

URL복사

지난 25일 인천앞바다에 기관고장으로 해경함정 예인중 침몰한 금양호 당시 해경이 늑장 출동 한것으로 드어나 파장이 예상 된다.

지난달 25일 새벽 2시경 인천 앞바다에서 기관고장으로 해경 경비함에 의해 예인되다 인천시 옹진군 선미도 북서쪽 5마일(81Km)해상에서 침몰한 68금양호 구조과정에서 현장에 있던 경비함이 늑장보고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장이 예상된다.

 

3일 국회 국토해양위 심재철(한나라당) 의원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인천해양경찰서 경비함 253함은 지난달 25일 새벽 1시45분 68금양호가 침몰하기 직전 이 배의 선장으로부터 "배가 기울고 있다"는 신고를 받았다.

 

신고를 받은 해경은 15분이 지나서 구조 지원을 위한 헬기 출동 지원 요청을 했으며 지원 요청을 받은 헬기(B516)는 이로부터 35분 후인 새벽2시50분 이륙을 시도했다.

 

결국 68금양호가 침몰한지 1시간20분이 지난 새벽 3시5분에 현장에 도착했고 야간 구조에 필요한 공군 조명기가 도착한 시간은 새벽4시10분인 것으로 사건 발생 2시간10분이 지난 뒤였다.

 

이와 관련, 해경은 상황별 대응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문제점에 대한 내부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 의원은 "해경의 내부자료를 검토한 결과 68금양호 사건처리에 있어 뒤늦은 보고와 늑장대응과 같은 갖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보고지침 위반과 지휘계통의 문제점이 드러난 만큼 사실 확인을 통해 관련자에 대한 엄중한 문책이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꽃게운반선이었던 68금양호는 지난달 25일 오전 기관고장으로 해경 경비함에 예인되던 중 갑작스런 파도에 침몰했다.

 

사고 당시 타고 있던 선원 등 7명 중 5명은 바로 구조됐지만 나머지 2명은 숨진 채 발견됐다.

 

해경의 한 관계자는 구조헬기는 이륙 준비에만 20~30분이 걸리기 때문에 자동차와 같이 신속한 출동은 불가능하다"고 해명 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