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이 동글동글한 사람은 관절질환이 많다. 얼굴이 각진 사람은 잘 돌아가지 못해서 울체(鬱滯)해서 기병이 많다. 정말 이 같이 얼굴과 질환이 관련이 있는 것일까? 형상의학에 의하면 머리의 안면과 이목구비의 형태에 따라 체질이 나뉜다. 이목구비는 종자에 해당하고 안면의 형태는 밭에 해당한다. 입은 정, 코는 기, 눈은 신, 귀는 혈에 속한다.
즉 얼굴 바탕의 형태에 따라 정과, 기과, 신과, 혈과로 나누는 것이다. 이중에서 이번호는 정과와 기과를 설명하겠다.
정과 - 얼굴이 둥근형정은 둥글둥글하고 이목구비가 둥그스름하게 중간에 모여 있다. 연예인 중 강부자나 황정순 등의 배우들이 정과에 속한다. 성격이 낙천적이며 실의에도 잘 안 빠진다. 한방에서 정은 물방울이며 음은 수(水)의 개념이다. 물은 하강작용이 있으며 응집작용이 있다. 둥글지만 그 바탕의 질은 물이다. 둥글다보니 구르게 되고 자꾸 움직이기 때문에 결국 허(虛)하게 되는 것이 정과의 특징이다. 정과는 움직임을 싫어하고 눕기를 좋아한다.
몸이 잘 붓는데 원래 습이 많은 체질이다. 류머티스 관절염도 오기 쉬우며 허리와 등이 아플 때도 많다. 새서 병이 온다. 특히 누설(漏泄)이 잘 되기 때문에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정기를 보해 주는 식품으로 구기자, 참깨, 부추씨, 산수유, 토사자, 황구육, 녹용, 복분자 등이 있다.
기과 - 얼굴이 각이 진형얼굴이 사각형으로 생겼거나 각이 졌으면 기과에 해당한다. 연예인 중 박경림이나 김진수가 이 경우다. 여성에게 많은데 대개 얼굴과 코에 살이 없는 편이다. 자존심이 강하고 신경성질환이 많다.
기과의 이목구비는 관골이 나오거나 코가 크거나 볼록하다. 특히 여성인 경우 이목구비가 흩어져 있다. 기과는 각이 져서 잘 움직이지 않는다. 잘 움직이지 않으므로 기체, 기울이 많다. 그러므로 대체로 부지런히 일하는 편이다. 한가해지면 오히려 병이 생기기 쉽다.
기과형들은 부지런히 일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편이다. 그렇게 해서 기를 소모하고 순환시켜야 심신이 편안해진다. 너무 돌아다니면 기가 허해지고 안 돌아다니면 기가 울하고 체한다. 배꼽으로부터 가운데 손가락 하나반쯤 아래 지점인 기해혈 자리를 누르면 통증을 느낀다.
손과 발 그리고 아랫배가 차거나 자궁에 혹이 생기기 쉽고 대소변의 상태가 안 좋으며 불면증, 갑상선질환이 많은 편이다. 복부가 찬 것도 기과의 특성이다. 차다는 것은 동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기과인 여성의 경우 갑상선질환, 자궁근종, 흉비증이 많다. 이것은 기가 잘 돌지 않아서 나타난 현상이다. 기과는 음식을 먹으면 잘 체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즐거운 마음으로 절제해서 먹어야 한다. 기를 북돋아 주는 식품으로 무, 총백, 쇠고기, 황구육, 생강 등이 있다.
학력 및 경력
·본디올 운제당 한의원 원장 한의학 박사
·수필가 = 경희대학교 한의과 대학 同 대학원 졸업 (한의학 박사)
·KBS, MBC, EBS, PBS, CBS, 케이블 TV 등 건강프로와 한방특강,
부부성클리닉에 고정 출연함
·現 한국노동교육원 객원교수
·現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외래교수
·現 한국 수필문학가협회 이사, 송파문학회 이사
·現 대한형상의학회 부회장 겸 교수
·저서 : ‘한방으로 끝내는 성’ ‘성기능 강화 한방으로 다스리기’
‘한방체질약차 110% 활용법’ 등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