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여야가 8일(한국시간) 새벽 백악관에서 가진 첫 한미정상회담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놓았다. 특히 공동선언문 채택에 대해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양국이 공동 가치와 신뢰를 공유하는 글로벌 파트너로서 앞으로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 평화협력 시대 구축을 함께 해 나가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출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공동선언을 계기로 한국은 튼튼한 안보와 경제 발전 지속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일 대변인은 “처음으로 만난 두 정상이 한반도 안보와 관련해 일치된 목소리를 냄으로써 북한의 도발에 대한 한미의 억지력은 한층 강화된 만큼 북한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확인된 메시지를 잘 읽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야권은 한반도 위기에 대해 구체적인 해법을 내놓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서울 망원시장 상인연합회 사무실에서 개최한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돌파구를 마련한 것 같지 않다”며 “박근혜 정부가 이명박 정부의 실패한 대북정책을 답습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배재정 대변인은 논평에서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도발에 단호히 대응하되 대화의 문을 열어둔다는 대북 정책기조에 합의했다”며 “양국 정상이 대화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한 것은 의미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 위기해소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면서 "한미 정상회담이 북한이 참여하는 대화의 장을 만들지 못한 만큼 당면한 한반도 긴장을 전환해야 할 숙제가 여전히 남게 됐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