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남북당국회담이 무산되면서 여야는 12일 상반된 반응을 내놓았다.
새누리당은 북한이 사과하기 전까지 남북당국회담을 재개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황우여 대표는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남북 회담이 정권 치적으로 여겨지던 시대는 지났다. 보여주기식 1회성 남북회담, 대북정책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남북 화해와 협력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소간의 시간과 진통이 따르더라도 올바른 관행과 진정성 있는 합의를 하나하나 해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황 대표는 “북한이 우리 수석대표인 통일부 차관을 문제삼아 대표단 파견을 보류한 것은 북한이 우리 정부를 동등한 대화 상대로 생각하는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김대중, 노무현 정부가 북한과 잘못된 회담 관행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최 원내대표는 “한때 북쪽이 만나자고 하면 황송해하며 만나고 회동 대가를 요구하면 감사하게 제공하고 쩔쩔매던 시절이 있었다. 이런 잘못된 관행들이 남북 당국회담을 파국으로 모는 계기가 됐다”며 “최근 15년 동안의 관행이 한번에 바뀌지는 않을 것이지만, 북한도 이번 일을 그 동안 관행이 잘못됐다는 것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은 안타까움을 표시하면서 자존심을 내세운 기싸움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는 지금이라도 대화의 끈을 완전히 놓지는 말아야 한다”며 “우리 정부의 끈질긴 노력과 인내를 유감없이 보여줘야 할 때”라고 밝혔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교각살우 회담이 되고 있다”면서 “남북 모두 자존심 버리고 회담 성사 위한 접촉에 나서길 요구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기싸움을 벌일 정도로 한반도 상황이 한가하지 않다”면서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눈물과 수십만 이산가족의 심경을 조금만 헤아려 교착국면으로 가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