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2007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면서 코너에 몰렸던 민주당이 기사회생한 분위기다. 새누리당이 지난해 대선 기간 동안 대화록을 입수한 의혹이 제기되면서 역공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김한길 대표는 27일 긴급의총에서 “박정희 시대 ‘중앙정보부 정치’가 부활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정권이 정보기관을 정치에 이용하면 정보기관은 한없이 오만해지고 국민이 불행해진다. 역사의 퇴행을 민주당은 용납하지 않겠다”며 “대선을 전후한 새누리당과 국정원의 정치공작을 밝히고 관련자에 대해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어제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2007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이 대선 전 불법적으로 유출됐고 악의적으로 왜곡돼 선거도구로 사용됐다는 증거가 드러났다”고 언급했다.
국정원 선거개입진상조사특위 위원장인 신경민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박근혜 대선 후보가 11월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명예를 위해서라도 문건은 완전하게 공개되는 게 좋겠다’는 취지의 답변을 한 점을 다시 주목할만 하다”며 “이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 일단 관련법을 깡그리 무시하고 있다. 어디에도 외교나 국익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당 법률위원장인 박범계 의원은 “2009년 2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취임했고 2009년 5월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검토 보고서를 만들었다. 그 시점에 당시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