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민주당 김현, 진선미 의원이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특위 위원직에서 17일 전격사퇴하면서 국정조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하지만 국정원 국정조사가 제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판단하는 정치 평론가들은 많지 않다. 그 이유는 증인 채택 여부 등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여야 간사는 김현, 진선미 의원이 특위 위원직에서 사퇴를 하자 이날 오후 만남을 갖고 국조 실시계획서 채택 여부를 논의했다.
때문에 빠르면 18일 실시계획서가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실시계획서가 채택이 됐다고 해서 국정조사가 순조롭게 이뤄지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증인 채택 여부와 참고인 채택 여부 등 세부사항을 놓고 양당의 입장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사퇴한 의원들을 대신할 특위 위원 선정을 놓고도 여야의 대립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밖에도 새누리당 권성동 간사가 중국행을 한 것도 도마위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국정조사 기간 중에 새누리당 간사가 중국을 방문했다는 것은 새누리당이 국정조사를 할 의지가 없다는 것을 반영한 것이라면서 민주당은 크게 반발하고 있는 형국이다. 때문에 권성동 간사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일련의 사태 때문에 국정조사가 제대로 이뤄질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문제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 때문에 일각에서는 국정조사 기간을 연장하는 논의도 필요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다만 새누리당이 국정조사 기간 연장을 받아들일지 여부는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