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회록 재검색 시한인 22일이 다가오면서 대화록 존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화록이 없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선언되고 나면 향후 정국은 그야말로 소용돌이 속으로 휘말릴 가능성이 높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열람위원들은 20일에 이어 21일에도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을 방문, 대화록 추가 재검색을 이어갔다. 그리고 이 결과를 22일 운영위원회에서 보고하기로 했다.
대화록을 찾지 못할 경우 대화록 폐기 책임 공방에 휩싸일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에서,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에서 폐기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서로가 다른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대화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공식적으로 발표가 되면 검찰의 수사는 불가피하다. 검찰이 로그 기록 등을 열람, 누가 삭제를 했는지 밝혀낸다면 그 정치적 파장은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대화록을 발견하게 된다면 여야 열람위원들은 계획했던 일정대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재검색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있다. 노무현 정부 시절 문서관리 시스템인 ‘이지원’을 복원해야 하기 때문이다.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기 위해서 ‘이지원’ 시스템을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재검색 기간을 연장하자는 분위기도 나오고 있다.
만약 재검색 기간이 연장되면 결국 혼란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