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박근혜정부가 25일로 출범 6개월을 맞이했다. 박근혜정부 6개월을 평가하자면 외교와 안보 등 외치는 100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내치는 0점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대한민국 헌정사상 첫 여성 대통령이 탄생됐지만 쉽지 않은 세월을 보내야 했다. 북한의 도발과 경제 위기가 흔들고 있었기 때문이다.
6개월의 세월 중 가장 큰 공적은 대북관계와 외교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은 취임 직전 3차 핵실험을 했고, 이후 일방적으로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등 도발을 벌이면서 박근혜정부에게 큰 위협이 됐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특유의 원칙을 내세우면서 승부수를 벌였고, 결국 개성공단 재가동을 이뤄냈다. 이와 더불어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 등에 대한 협의를 이끌어내는 쾌거를 보였다.
미국과 중국 방문을 통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받았고, 이 지지가 결국 북한을 변화시키게 만든 것이다.
때문에 외교 분야에 있어서는 박 대통령의 업적은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재산 환수 등 비리 척결 의지도 상당히 높았다. 원전 비리 수사, 4대강 감사 역시 이와 일맥상통하다고 할 수 있다.
역대 정권에서 해왔던 정권 첫해 특별사면을 하지 않은 것 역시 박 대통령의 의지를 볼 수 있다.
다만 내치 부분에서 평가가 좋지 못하다. 우선 인사 부분에 대해서는 야권뿐만 아니라 보수 지지층에서도 비판이 나오고 있다.
취임 전후 김용준 총리후보자,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등이 줄줄이 낙마하면서 곤혹을 치렀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은 성추행 의혹으로 중도 하차를 해야 했다.
경제분야 역시 빨간 불이 켜진 상태이고, 세수 확보에 비상이 생겼다. 경제민주화는 후퇴했고, 대선 기간 동안 내걸었던 수많은 복지 공약은 휴지통에 들어가야만 했다.
무엇보다 청와대와 여당인 새누리당의 수직적 관계, 꽉 막힌 대야 관계는 '소통 부재'란 논란을 낳고 있다.
때문에 하반기에는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국민대통합을 이뤄야 한다는 숙제를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