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민주당 박남춘 의원(인천 남동갑)은 1일 소방방재청에서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원인미상의 화재로 인한 사망·재산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소방방재청이 제출한 ‘최근3년간 발생한 화재사고현황’에 따르면, 2010년 대비 2012년 화재 발생률은 3.2%(41,863건→43,249건), 재산피해액은 7.8%(2,668억원→2,895억원) 증가했다.
그 중 ‘원인미상’의 화재의 경우 전체 화재사고의 약 10%를 차지하지만 재산피해와 사망자 발생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2012년 화재로 목숨을 잃은 사망자는 총 267명인데 그 중 원인미상의 화재로 인한 사망자가 전체의 45%인 120명에 달하고, 발생한 재산피해규모인 약 2,895억원 중 원인미상의 화재가 40%(1,152억원)에 가깝게 나타났다.
2012년 원인미상의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은 전체(4,250건)의 25.7%를 차지한 경기도(1,093건)로 집계되었으며, 서울(458건, 10.8%), 경남(455건, 10.7%), 충남(332건, 7.8%)이 뒤를 이었다.
또한 최근 3년간 원인미상의 화재발생이 가장 증가한 곳은 전남으로 2010년 109건 발생한데 반해, 2012년에는 244건이 발생해 3년 사이 123.9% 증가했다.
박 의원은 “화재의 발생빈도는 부주의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실제 피해정도는 원인미상의 화재일 경우가 가장 컸다”며 “화재원인조사는 화재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일선 소방서에서 화재조사관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소방관은 725명에 불과해 각종화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에 어려운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 소방방재청 및 시도본부에 화재원인 조사를 위한 전담부서가 있지만, 화재조사원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인력은 화재발생비율에 비추어보아도 열악한 수준”이라며 “3교대 근무의 실시로 인해 각 소방서당 적어도 3명의 화재조사관 자격증 보유자가 있어야 하지만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소방서가 23곳”이라고 지적하면서 “화재조사 관련 전문인력의 확보와 과학적인 수사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를 충분히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