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혁신도시에 조성된 아파트가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했다.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경기 고양 덕양을)이 국토교통부에게 전수조사를 요청해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125개)중 40곳 직원 580명이 직원대상으로 특별 분양한 아파트를 전매(轉買) 제한 기간(1년)이 끝난 뒤 되판 것으로 드러났다. 특별분양 받은 직원 3,940명 중 14.7%에 달하는 숫자다.
특히 전매기간이 끝난 뒤 집을 되판 공공기관 직원 580명 중 548명(94.5%, 37개 기관)이 본사가 혁신도시로 이전도 하기 전에 아파트를 되 판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별로 살펴보면 부산혁신도시는 특별분양을 받은 직원 1,240명 중 419명(33.8%)이 집을 되팔아 가장 많았으며, 울산혁신도시는 특별분양자 466명 중 78명(16.7%)이 전북혁신도시 497명 중 68명(13.7%), 경북혁신도시 832명 중 8명(0.9%), 제주혁신도시 171명 중 6명(3.5%), 충북혁신도시 84명중 1명(1.2%) 이었다.
공공기관별로는 한국해양연구원이 112명(19.3%)으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남부발전 77명, 자산관리공사 41명, 영화진흥위원회 40명, 대한주택보증 32명, 국립해양조사원 30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2명, 농촌진흥청 21명,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19명, 한국동서발전 16명, 한국청소년상담원과 근로복지공단이 각각 14명, 한국예탁결제원 12명, 국립재난안전연구원과 한국석유공사, 국립농업과학원, 국민연금관리공단, 대한지적공사가 각각 10명 등 순이었다.
이들 공공기관은 분양당시 임직원들에게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일부 공기업의 경우 직원들에게 낮은 금리로 융자를 해준 것으로 알려졌으며, 부산대연도시의 경우 특별분양 시 주변시세보다 3.3㎡당 200만원가량 낮았고 일반분양분과 비교해서도 60만원 이상 낮게 공급돼 분양 때부터 투기를 노린 전매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김 의원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꼴로 노른자위 땅에 싼값으로 아파트를 제공해 공공기관 직원들의 주머니를 채워준 셈이다. 특히 본사가 이전도 하기 전에 분양받은 아파트를 판 것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