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세종대왕의 한글반포 567주년인 올해 10월 9일 한글날이 법정 공휴일로 재지정 된 가운데 외국학교에서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가르치고 있는 나라와 학교, 학생 수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글날을 보다 뜻 깊게 하고 있다.
민주당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가르치고 있는 나라가 2010년 21개국에서 2011년 22개국, 2012년 23개국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가르치는 학교 수는 2010년 525개, 2011년 695개, 2012년 799개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학생은 2010년 39,435명, 2011년 64,611명, 2012년 76,377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기준으로 전 세계 23개국 799개 학교에서 76,377명이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배우고 있다.
2012년도 기준으로 일본이 303개교로 23개국 799개 학교 중 37.9%를 차지했고 이어 미국이 110개교로 13.7%, 태국이 81개교로 10.1%, 대만이 48개교 6%, 호주가 47개교 5.8% 순으로 나타났다.
또 2012년도 기준으로 한글을 제2외국어 또는 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학생은 태국이 23,256명으로 전 세계 76,377명 중 30.4%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이 12,075명으로 15.8%, 미국이 9,478명으로 12.4%, 우스베키스탄이 8,305명으로 10.8% 순이었다.
윤 의원은 “한글의 우수성과 위상이 점점 높아서 이제는 전 세계 23개국 799개 학교에서 76,377명의 학생이 한글을 제2외국어와 외국어로 배우고 있다”며 “한글반포 567주년 올해 10월9일 한글날은 1991년 제외됐다가 23년 만에 다시 공휴일로 지정 된 만큼 그 의미가 더 크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