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2013년 6월 현재 상위 10대 기업(매출액 기준, 금융/공기업 제외)의 현금 및 단기자산은 58조5,791억원으로 확인됐다. 특히 2012년 대선 이후인 2013년 6개월 동안 9조169억원, 18% 폭증했다.
이는 박근혜 정부 등장이후, 초대기업들이 투자를 기피하고, 집중적으로 현금성 자산을 늘려온 것이다.
민주당 최재성 의원(남양주갑)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2010년 부자감세로 법인세 최고세율이 인하(25%->22%)된 이후 2년반 동안 현금 및 단기자산의 증가율은 43%로 확인했. 2010년 12월 40조8,942억원이던 상위 10대 기업의 현금·단기자산은 2013년 6월 58조5,791억원으로 폭증했.
이 기간동안(2010년~2012년) 매출 상위 10대 기업의 법인세 납부액은 2조원 이상 감소했다.
초대기업들이 투자를 기피하고 현금을 쌓아두고 있는 상황에도, 박근혜 정부가 지난 8월8일 발표한 세제개편안에는 대기업들이 집중적인 혜택을 받고 있는 3대 주요 감면공제 제도는 전혀 손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