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맞춤형 수준별 수업으로 학습만족도를 제고한다는 취지 아래 실시해온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준에 따라 지도 교사의 유형이 크게 달라 자칫 ‘차별수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유은혜 의원(고양 일산동구)가 교육부로부터 서울?경기 지역과 6개 광역시 289개 중?고등학교의 올해 수준별 이동수업 현황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상수준의 집단에는 대부분 정규교사가 주로 배치된 반면, 하수준의 집단에는 보조교사나 강사 등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1개 고등학교 374개 학년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의 경우 상수준 집단의 수업에는 정규교사가 652명, 기간제 교사는 85명, 보조교사 및 강사는 25명(3.3%)이 담당하고 있는데 비해 중수준과 하수준으로 갈수록 보조교사 또는 강사의 비중이 늘어나 중수준은 13.1%, 하수준은 34.5%나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수준 집단에 대한 정규교사의 수업담당 비율은 53.2%로 85.5%인 상수준 집단에 비해 32.3%p나 낮았다.
낮은 수준의 학생 집단에 경력이 많은 교사를 배치하여 학습의 흥미를 갖게하고 점차 중?상수준의 집단으로 끌어올려야 하지만 입시라는 현실적 장벽을 이유로 높은 성취 수준의 학생 집단에 더 많은 배려를 함으로써 수준별 이동수업의 기본적인 취지가 퇴색될 우려가 있다.
유 의원은 “수준별 이동수업 확대에 따라 해당 과목의 교원도 크게 늘어나야 하지만 이를 반영하지 못한 채 임시로 보조교사나 강사를 채용하여 운영하고 있는 점이 근본적인 문제인 만큼 낮은 처우와 불안한 신분에 놓인 비정규직 교원보다는 정규직 교원 임용을 확대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교육감들은 수준별 이동수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추가 교원 수요가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여 국회에 보고하고, 교육부를 비롯한 중앙정부에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해당하는 인원의 교원을 늘려줄 것으로 요청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