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정부 인가를 받지 않은 대안학교는 운영이 매우 다양하고, 수업료 등 연부담액이 ‘천양지차’임. 미인가 대안학교는 관리사각지대에 놓이면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당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에 따르면 미인가 대안학교에서 공부하기 위해 학생들이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평균 758만5천원이다. 연간 1천만원이 넘는 곳이 31개로 전체의 15.3%임이다.
대안학교는 공교육이 정하는 교육방식은 아니지만 학원?과외 등의 사교육과는 또다른 제3의 길을 찾는 학생과 학부모가 선택하는 방안 중 하나이다. 그래서 교육부에서 인가한 대안학교는 정규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중?고등 학력을 인정하고 있다.
미인가 대안학교는 전국에 203개 이상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산 8개, 경남 10개가 분포하고 있다.
문제는 대안학교 대부분이 등록금이 1천만원이 넘고 있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인가를 받지 않은 대안학교 운영이 다양하고, 수업료 등 연부담액이 대학등록금을 넘어가고 있는 상황임에도 교육청의 관리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따라서 특권층을 위한 귀족학교로 전락한 미인가 대안학교에 대해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게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