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한국도로공사가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졸음쉼터 110개 중 87개소가 안전 및 편의상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부분의 고속도로 졸음쉼터가 진·출입로가 짧아 충돌의 위험이 크고, 속도 저감시설과 역주행안전시설 미설치, 가로등과 표시판 부족 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상의 문제가 지적된 일부 졸음쉼터에서는 실제로 교통사고가 발생해 탑승자가 사망하는 등 제도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청이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안양동안을)에게 제출한 ‘고속도로 졸음쉼터 미흡한 교통안전시설 보안요청’ 자료(2013년 1월)를 통해 밝혀졌다.
도로공사와 고속도로순찰대, 도로교통공단, 교통안전공단이 합동으로 ’12년 12월 12일부터 20일간 졸음쉼터의 ▲안내표지판 ▲진입부 속도 저감시설 ▲역주행 사고 예방 등의 안전성과 편의시설을 점검한 결과 110개소 중 87개소가 부실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중 ▲경북 24개소 ▲전남 13개소 ▲경남 8개소 ▲부산 5개소에 설치된 모든 졸음쉼터는 시설보완대상이며, ▲충북 17개소 ▲충남 11개소 ▲강원 5개소 ▲전북 4개소 역시 시설을 보완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청이 도로공사로 보낸 졸음쉼터별 주요지적사항을 보면 ▲졸음쉼터 진입구간과 본선으로 합류하는 출구 구간이 짧아 충돌위험 ▲졸음쉼터 내 역주행 방지표시 미설치 ▲대형차량 주차면이 입구에 설치돼 진입차의 추돌 위험 ▲진입로 속도저감시설 미설치 ▲화장실 및 휴식 공간 부족 등으로 경찰청은 보완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심 의원은 “상당수의 고속도로 졸음쉼터가 안전시설이 미흡하고, 진?출입구간이 짧아 교통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설치된 졸음쉼터에 문제가 있는만큼 도로공사는 개선에 적극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