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4대강사업에 이어 전초전으로 알려진 경인운하사업에서도 대형건설사들이 입찰담합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경인운하사업에서 수천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정황이 드러났다.
민주당 문병호 의원(인천 부평갑)이 수자원공사로부터 받은 ‘경인아라뱃길 공구별 총도급액 대비 하도급액 비율’을 분석한 결과, 경인운하 6개 공구 건설공사에서도 원도급사들의 총도급액 대비 하도급액 비율이 58.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건설, 동부건설 등 원도급사들은 총도급액 1조 2,025억원 중 6,986억원(58.09%)을 실하도급으로 주고, 5,038억원(41.91%)을 자신들의 몫으로 챙겼다. 원도급사의 경비와 이익을 20%(2,405억원) 정도 인정해주더라도, 2,633억원을 추가이득으로 챙긴 셈이다.
특히 동부건설컨소시업이 낙찰받은 4공구의 실하도급율은 37.99%에 불과했다. 동부건설컨소시엄은 4공구 공사를 1,155억원에 낙찰받아 439억원만 하도급을 주고, 716억원을 자신들의 몫으로 챙겼다.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이 낙찰받은 5공구의 경우도 실하도급율이 50.32%에 불과했다.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은 5공구 공사를 1,618억원에 낙찰받아 814억원만 하도급을 주고 804억원을 챙겼다.
문 의원은 “4대강사업 턴키담합에 이어 그 전초전이라고 알려진 경인운하사업에서도 대형건설사들은 90%의 높은 낙찰율로 부당이득을 챙긴 의혹을 받고 있다”며 “이들은 90%의 높은 낙찰율로 공사를 따고도 58.09%만 하도급을 주고 나머지는 자신들의 몫으로 챙겼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은 “우리나라 대형건설사들은 오랜 세월 공사관리만 할 뿐 실공사를 하지 않다보니, 공사를 실행할 장비도, 인력도, 기술도 없다는 것이 중론”이라며, “공정위와 검찰은 경인운하사업의 입찰담합의혹도 철저히 조사해 진상을 규명하고 부당이득을 환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