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기업의 글로벌 인재 육성전략이 필수 영역이 되고 있지만, 국외 파견자나 주재원을 위한 회화 교육과 이문화 교육은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무교육 전문기업 ㈜캐럿글로벌은 지난 8월21일부터 10월6일까지 국내 대기업과 외국계 기업 167곳을 대상으로 한 '2015 글로벌 역량강화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167개 기업 중 41%는 2015년도에 가장 주력하는 HRD(인적자원개발) 목표로 글로벌 인재육성 전략 수립을 꼽았다. 이미 글로벌 핵심인재 풀을 가지고 있다는 기업도 63%를 차지했다.
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형태는 최근 3년간 유사한 추이를 나타냈다. 사내 어학 프로그램 운영이 25%로 가장 높았고 온라인과정(21%), 전화영어(19%) 순이었다.
그러나 실제 국외 파견자나 주재원을 위한 교육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지 파견자나 주재원들은 업무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의사소통과 타 국가 및 지역 이해를 꼽았다.
기존 국외 파견자와 주재원을 대상으로 이문화 교육 현황을 물은 결과 전체 기업의 42%가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한 국외 업무 수행 시 어려움을 겪는 요소로는 의사소통이 25%로 가장 높았으며 지역 이해가 23%로 나타났다.
한편 어학능력 평가로는 토익스피킹, 오픽과 같은 말하기 시험의 반영 비율이 증가했다. 토익, 토플 등 지필고사는 지난해보다 줄었다. 토익스피킹이 23%로 가장 높았으며 토익 19%, 오픽 16%, 중국어 시험 HSK 13%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