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국토교통부는 교통분야 인구주택 총조사에 해당되는 '전국국가교통조사'를 2016년 실시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조사방법론 검토 등 준비단계를 거쳐 전국가구 중 필요한 적정규모 표본과 교통량 조사지점을 선정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교통조사에서 ▲대규모 가구통행실태조사 ▲GPS 등 첨단교통정보 활용 ▲교통정보 통합관리를 위한 '교통정보DB 협의위원회' 운영 등을 통해 국가교통DB의 신뢰도를 높일 예정이다.
국토부는 국가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2차 국가교통조사계획(2014~2018)'을 확정·시행할 계획이다.
조사 기간 동안 첨단장비·자료를 활용한 여객·화물교통조사, 교통시설물 조사를 통한 GIS기반 네트워크 DB구축, 국민밀착형 교통정책 수립을 위한 교통통계 조사 등을 하게 된다.
먼저 여객·화물교통 조사 부문은 조사자료의 품질개선을 위한 첨단자료 수집 강화, 다수단(Multimodal) 수요분석을 위한 예측모형의 고도화, 교통정책 활용성 증진을 위한 주말기종점통행량 구축 등을 계획하고 있다.
네트워크 조사 부문은 대중교통을 포함하는 복합교통망 분석을 위해 교통시설물 조사범위를 세분화하고 ITS를 활용한 속도·교통량자료 수집 확대를 통해 교통망성능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교통통계 조사 부문은 시설물의 대형화·복합화 등 환경변화를 감안해 교통유발원단위조사를 강화하고 교통혼잡비용·교통사고비용·물류비용·대중교통분담률·차량주행거리(VKT) 등 주요 5대 정책지표의 중점관리를 통해 정책 활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한편 국토부는 국가 교통정책의 합리적 수립·시행을 위해 향후 5년간(2014~2018년) 국가교통조사·DB 구축에 총 371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국가교통조사계획을 통해 신뢰성 있고 보다 정확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편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통정책 결정을 지원하고 교통시스템 개선은 물론 교통SOC 투자사업의 타당성 및 효율적 자원배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제1차 국가교통조사계획(2009∼2013)에서는 전국가구(1722만 가구)의 약 2.84%(약 50만 가구, 약 140만 명)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