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난 10일 사실상 타결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 실제 효과가 예상과 다를 수 있으며 업종별로 좀더 세밀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이날 출입기자 간담회를 열고 "중국의 인해전술을 경계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권 원장은 우선 축산업의 경우 농민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FTA 이득공유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그는 축산업 관계자를 인용해 "최근 중국의 부유층 가운데 유제품이나 한우 등 한국 농·축산품을 찾는 소비자가 크게 늘고 있다"면서 "정부지원이나 이익공유제를 이야기하기 전에 어떻게 중국시장을 뚫을지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중국 식품산업은 최근 연평균 15%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류의 영향으로 김치, 유자차, 김, 라면 등의 중국 내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 최근 중국 유제품 시장에서도 한국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저렴하지만 질이 좋지 않은 중국 농산품보다 한국 제품을 찾는 사례가 늘고 있다.
권 원장은 농업계도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전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은 전통적으로 고기를 볶거나 튀겨 먹는 문화인데 최근 한국을 방문했던 중국 관광객이나 중국 부유층 사이에서 갈비 등 고기를 구워먹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면서 "한우 등 우리 축산업계에도 큰 기회가 될 것인 만큼 정부나 전문가 집단의 전문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득실이 엇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 원장은 "자동차 등 품목이 양허품목에서 제외된 것은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평가한 뒤 "휴대폰 등 공산품의 경우 득실계산에서 이득이 되지만 중국 제조업의 추격이 만만찮은 현실에서 중국기업의 대량생산을 통한 시장가격 인하가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인해전술 트라우마'로 지칭했다. 대량생산을 통한 저가의 휴대폰, 가전 등 소비재의 경우 FTA의 관세인하 효과를 발판으로 오히려 중국기업들이 한국시장을 집중 공략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권 원장은 "이번 FTA를 확실한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와 더불어 업종별로 중국 부유층의 소비성향 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중 FTA 체결로 인한 시장 성장성이 예상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표명했다.
권 원장은 "(한·중 FTA 로)우리 기업들의 소비시장 확대가 예상된다"면서도 "국내외 전문가들 가운데 중국의 경제성장률 통계 수치(7%)에 대해 의문을 품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그는 해외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경제 성장률이 발표와 달리 실제로는 4%에서 5%대에 머무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통계수치가 과장됐다는 주장의 근거로는 "성장위주 경제정책을 펴고 있는 중국 지도부의 입장 등이 반영되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원장은 이어 "우리기업들이 중국시장 공략을 위한 경영 전략을 수립할 때 이러한 사항을 감안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