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700㎒ 재난망 주파수가 정부안대로 최종 확정됐다.
국무조정실 주파수심의위원회는 14일 오전 회의를 열고 주파수 700㎒ 대역 중 718~728㎒, 773~783㎒ 대역을 재난망용 주파수로 확정했다.
미래부와 방통위는 718~728㎒, 773~783㎒ 대역을 재난망용 주파수로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해당 대역은 일본의 전파 간섭이 없어 재난망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재난망에 사용될 장비, 단말기를 적기에 경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위원회는 또 모바일 광개토플랜에 따라 통신용으로 배정됐던 40㎒ 폭(728~748㎒, 783~803㎒)에 대해서는 용도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모바일 트래픽(데이터양)증가에 대비해 700㎒ 주파수 중 40㎒ 폭을 통신사에 배정하기로 했다가 최근 전국 초고화질(UHD)방송을 추진하는 지상파의 반발에 부딪혀 입장을 수정한 바 있다.
추경호 위원장은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적인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난안전망 구축의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었다"고 말했다.
한편 주파수심의위원회는 전파법에 따라 주파수 신규 분배와 회수, 재배치 등을 심의하는 기구다.
이날 회의에는 미래부, 방통위 관계자를 비롯해 이수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 정제창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 홍인기 경희대 전자전파공학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