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난 15일 타결된 '한·뉴질랜드 FTA'를 계기로 축산농가의 소득 감소 우려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농업경제연구원(KIET)는 18일 "호주 및 캐나다에 이어 뉴질랜드와 FTA를 체결함에 따라 축산물 수입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농가소득 안정화 방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KIET는 "한·뉴질랜드 FTA 자유화 수준(87.1%)이 한·EU (97.2%), 한·미 (98%), 한·호주(91%)보다 낮지만 지난해 우리나라에 수입된 쇠고기 25만7000톤중 뉴질랜드산이 10%를 차지하고, 뉴질랜드가 우유 생산량의 98%를 치즈와 버터 등으로 가공해 수출하는 세계적 유제품 수출국이란 점에서 국내 축산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쇠고기의 경우 FTA 발효후 관세 인하 폭 확대로 수입량이 점차 증가해 장기적으로는 국내 생산을 위축시키고, 수입 쇠고기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 한우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지적됐다.
유제품의 경우에는 관세인하 등으로 뉴질랜드산의 점유율이 늘어나고, 이늘 결국 유가공업체의 국내산 원유(源乳)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됐다.
KIET는 "그동안 국내 축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했던 방안을 종합 점검하는 한편 수입보장보험 도입 등 농가소득안정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축산업 6차산업 활성화 ▲가공원료유 지원사업 확대 ▲국내산 축산물 소비기반 확대 ▲농가소득안정망 구축 강화 등도 필요한 과제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