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농민단체들이 한·중FTA 쌀 전면개방과 유전자변형농산물(GMO)표시제, 친환경의무급식 감소 등 정부의 농업정책을 비판하며 20일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전국농민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등 50여개 농민·시민단체로 구성된 식량주권과 먹거리안전을 위한 범국민운동본부(식량주권 범국본)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식량주권과 먹거리안전을 위한 3차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는 전국 각지에서 모인 농민과 시민 1만여명(주최 측 추산·경찰 추산 2500여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내고 "정부가 국내 농축산업과 먹거리안전을 위협하는 한·중FTA를 '밀실 협상'이나 다름없이 진행하고 쌀 시장을 일방적으로 개방하려고 한다"며 "농산물 가격 폭락을 조장하는 한중FTA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는 거짓과 위선으로 식량주권과 농업을 포기했다"며 "올해 한·호주FTA, 한·캐나다FTA, 한·뉴질랜드FTA에 이어 한·중FTA까지, 오직 FTA와 쌀 전면개방만을 추진했다"고 비판했다.
또 "농민단체와 소비자단체가 중심이 돼 호주와 캐나다FTA 국회 비준을 반대하고 한·중FTA와 쌀 전면개방을 막기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석운 TPP·FTA 대응 범국민대책위원회 대표는 "지난 17일 박근혜 대통령이 중국에서 FTA를 실질적으로 타결했다는 충격적인 발표를 들었다"며 "FTA의 실질적인 피해는 소비자에게 바로 직결된다. FTA에 반대하고 식량주권을 지키는 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호 전국농민회총연맹 회장은 "2014년은 농업을 집어삼킬 광풍이 몰아칠 한 해"라며 "정부가 농업을 포기하고 식량주권을 마구 파는 상황에서 농민들은 나락으로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소를 키운다는 한 농민은 "정부는 FTA만 되면 나라가 잘 산다며 농민들에게 희생을 요구했다"며 "정부는 농민들에게 농촌을 떠나라고 하지만 지금까지 국가 정책에 희생된 게 원통해서라도 못 떠나겠다"고 토로했다.
집회에서는 정부 정책을 규탄하는 영상 상영과 공연 등이 이어졌다. 무대 옆에는 '혼합미', '한중FTA', '쌀전면개방' 등 하얀색 판넬을 붙인 허수아비를 세웠다. 참석자들은 집회를 마치며 허수아비를 불에 태웠다.
참석자들은 '농업몰락 농민파탄 박근혜 정권 퇴진하라', '농민 소비자 함께하여 쌀 개방 막아내자'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마친 뒤 소공로와 을지로입구를 지나 종로 보신각 앞까지 1개 차로를 이용해 행진한다.
앞서 이날 낮 12시30분께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는 종로구 영풍문고 앞에서 사전집회인 '2014년 전국친환경농업인대회'를 열고 "친환경농업을 전면 확대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농민 1000여명(주최 측 추산·경찰 추산 500여명)은 "전국 곳곳에서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라고 종용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며 "우리 농업을 지키는 대안인 친환경농업이 정부의 정책으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서울시청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이후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한중FTA 저지, 쌀전면개방 반대' 집회에 합류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72개 중대 5000여명의 경력을 배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