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금융보안원 설립 작업이 삐걱거리고 있다.
금융보안원 초대원장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1월 25일 공모를 마감했지만, 초대원장을 맡을 적절한 인물을 찾지 못해 이달 15일까지 공모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금융전산보안 전담기구 설립사무국 관계자는 11일 뉴시스와 가진 전화통화에서 "예상보다 적은 인원이 지원했고, 위원회에서 공모기간을 늘리는 것이 좋겠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보안원장에는 김영린 현 금융보안연구원장, 곽창규 전 원장 등이 지원했다.
당초 김영린 현 금융보안연구원장이 초대 원장으로 선임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공모기간이 연장되자 의외의 인물이 선임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사무국 관계자는 "다른 기관 등의 전례를 살펴보고 가능하다고 판단해 공모를 연기한 것"이라며 "12월 말 원장 후보자를 선임하고 내년 1월에 총회를 열어 초대 원장을 선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인력 구성과 인건비 문제로도 부침을 겪고 있다.
금융보안원은 설립비용 130억원, 170명의 인력으로 출범하며, 예산은 회원사인 금융사들이 갹출한다. 내년 예산은 343억원이며, 이중 인건비 예산은 165억원(1인당 9700만원)으로 책정됐다. 인건비는 금융결제원의 90% 수준으로 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보안원은 금융보안연구원, 금융결제원, 코스콤, 정보공유분석센터(ISAC) 업무를 이관해 담당하게 되며, 인력 역시 이들 3개 기관에서 차출하기로 했다.
금융보안연구원 인력 55명이 참여하고, 금융결제원에서 72명, 코스콤에서 36명의 직원을 확보하기로 했지만 아직 확정되지 못한 상황이다. 현재 금융결제원에서 61명, 코스콤에서 35명의 직원이 이동하기로 확정했다. 금융결제원에서 옮겨와야 할 인력이 10명 가량 부족한 상황이다.
사무국 관계자는 "노력하고 있지만 170명으로 예정된 인력을 다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 출범하게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융보안원과 코스콤 기술직의 경우 금융결제원 연봉의 50~60%를 받고 있었고, 향후 5년간 90% 수준까지 올리기로 했다"며 "하지만 금결원 직원의 경우 연봉 수준이 기존의 90% 수준으로 깎이는 상황이라 지원자가 적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고액 연봉 논란도 나온다. 1인당 인건비가 9700만원으로 코스콤(9430만원), 한국예탁결제원(9560만원) 등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금융공기관 보다 높다.
한국거래소의 경우 1인당 인건비가 1억1100만원이지만, 거래소는 오래 근속한 직원들이 많다는 특수성을 감안해야 한다.
사무국 관계자는 "퇴직급여충당금 등을 모두 포함한 인건비"라며 "3개 기관의 연봉에 차이가 커 조율하기가 힘들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