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환경관리해역에 2018년까지 총 4조4222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지자체 등과 합동으로 지난해 12월 마련한 제2차 해역별 관리계획(2014~2108년)을 9일 발표했다.
해수부는 지난 2000년 해양오염방지법에 따라 전국 연안 중 생태계보전을 위한 종합적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한 9개 연안에 대해 환경관리해역으로 지정했고, 2013년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환경관리해역은 해양환경 및 생태계 상태가 양호해 지속적인 보전이 필요한 '환경보전해역'과 해양환경의 보전·관리에 현저한 장애가 있는 '특별관리해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2000년부터 가막만, 득량만, 완도·도암만, 함평만 등 4개 해역은 '환경보전해역'으로, 울산연안, 부산연안, 마산만, 광양만, 인천연안·시화호 등 5개 해역은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해수부는 환경관리해역 9개 해역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역특성에 적합한 해역별 관리계획을 수립했다.
제2차 관리계획에서는 ▲육상오염원 관리 ▲해양환경 개선 ▲해양생태계 및 서식지 관리 ▲해양환경관리 역량 강화 등 4개 분야에 대해 120개 추진과제를 설정했으며, 총 4조4224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2018년까지 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해수부는 2차 관리계획을 수립하면서 제1차 계획에 비해 해역별 수질, 저질, 생태계 조사·분석을 강화했다.
매년 해역별 관리계획에 대한 이행평가를 실시해 관리여건 변화에 대한 대응력과 정책의 집행력을 강화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생활하수 및 폐수 등 육상 오염수(水)의 해양유입을 막고 오염된 저질을 복원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환경관리해역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오염된 해역의 수질과 저질은 일반해역 수준으로 복원하고, 해양생물의 서식지 확충과 수산자원 보호를 통해 바다의 생산성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