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한국양계농협이 버려야할 계란을 재활용해 가공식품을 만들다 적발된 사건을 두고 "식품 안전에 대한 기본조차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현실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17일 밝혔다.
소비자단체는 HACCP 인증업체에 대한 인증부터 사후 관리까지의 전면적 재검토와 소비자단체와 함께하는 HACCP운용 수준평가 등 철저한 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양계농협 소속의 한 계란가공공장은 계란 껍데기의 액체형 찌꺼기와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된 파란(깨진 계란)을 정상적인 계란과 섞어 식품원료로 만들어 대기업 등에 납품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번 폐기물 계란은 대형 제과업체, 제빵업체뿐만 아니라 학교 급식을 담당하는 업체로까지 공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단체는 "문제의 공장은 정부로부터 식품 안전을 보증하는 HACCP 인증을 받은 곳으로 동서식품 대장균 시리얼 사건에 이어 식품의 HACCP 인증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났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회사들의 HACCP관리 및 감독을 철저하게 이행하지 못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폐기물 계란이 어느 업체로 납품이 됐는지 명백히 밝히고 이를 사용한 업체에 대해서도 식약처의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져 국민에게 공개할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농민과 소비자를 직접 연결한다는 농협은 이번 사태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양계농협은 위생과 환경 등 감독기관의 점검 및 진단을 위해 해당 공장을 잠정폐쇄했고, 농협중앙회도 자금지원 등을 전면 중단한 상태다. 양계농협 오정길 조합장은 사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