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난해 TV시청점유율에서 KBS1TV와 MBN이 지상파와 종편 채널 중 각각 1위에 올랐다.
20일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14년 텔레비전 방송채널 시청점유율' 조사에 따르면 KBS 1TV는 14.955%를 기록하며 지상파 채널 중 1위를 기록했다. KBS2(13.470%), MBC(11.971%·본사+19개 지역사 합산 ), SBS(5.958%) 등이 뒤따랐다.
SBS와 지역민방의 시청점유율을 합한 SBS 네트워크의 시청점유율은 11.297%(SBS 5.958%·지역민방 5.339%)로 집계됐다.
5~8위는 종합편성채널의 몫이었다. 5위는 MBN(3.532%)이 차지했다. 이어 TV조선(3.015%), 채널A(2.656%), JTBC(2.610%)순이었다.
EBS(2.404%), MBC드라마넷(1.878%), tvN(1.859%), YTN(1.553%)은 9~12위에 이름을 걸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1년 종편출범 이후 지상파 방송 사업자의 전체 시청점유율은 62.665%(2011)→61.523%(2012)→56.558%(2013)→54.477%(2014)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지상파와 계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까지 포함한 시청점유율도 74.339%(2011)→71.944%(2012)→67.010%(2013)→64.319%(2014)로 떨어졌다.
반면 종편 4개 채널의 시청점유율은 0.296%(2011)→5.026%(2012)→8.918%(2013)→11.813%(2014)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보도채널 분야를 살펴보면 YTN은 1.602%(2011)→1.649%(2012)→1.482%(2013)→1.553%(2014)로 정체를 보였으며 연합뉴스TV는 3년간(0.003%(2011)→0.777%(2012)→0.959%(2013))답보상태를 보이다가 지난해 1.184%로 상승했다.
다채널 프로그램 공급자(MPP) 분야에서는 CJ E&M 계열의 PP가 8.342%(2011)→8.393%(2012)→7.908%(2013)→7.718%(2014)로 하락했다. 티캐스트 계열 PP 역시 3.328%(2011)→2.599%(2012)→2.823%(2013)→2.616%(2014)로 떨어졌다.
이번 조사 결과 1인당 하루 평균 시청시간은 지난해(3시간 11분)보다 7분 늘어난 3시간 18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통위는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전국 4,000가구의 고정형TV로 방송되는 TV방송채널 521개를 대상으로 시청점유율을 조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