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전, 한국도로공사 등 130개 공공기관들이 스펙이 아니라 직무능력을 중심으로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정부는 24일 오후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이들 공공기관들과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를 갖고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을 확대키로 결의했다.
'능력중심 채용'이란 해당직무에 맞는 스펙을 갖춘 인재를 NCS(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의 평가 툴을 활용해 선발하는 방식을 말한다.
채용과정은 ▲채용기준(NCS 기반 직무기술서) 사전공개 ▲직무능력 기반 지원서 중심의 서류전형 ▲채용기준에 따른 직무능력평가(필기·면접 등)의 3단계에 걸쳐 구현된다.
이에 따라 이번 협약에 참여한 공공기관들은 올해 안에 취업지원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모델을 도입할 예정이다.
우선 산업인력공단 등 직무능력중심 채용모델을 이미 도입한 30개 공공기관은 올해 채용공고문, 서류·면접전형 등을 통해 NCS기반 채용을 진행한다.
반면 올해 처음 선정된 한전, 도로공사 등 100개 공공기관은 상반기중 채용모델을 마련한 후 하반기경부터 직무능력 중심의 서류와 면접전형을 진행한다.
하지만 전공필기시험의 경우 취업준비생의 준비기간을 고려해 기관별 개편내용을 공고한 후 1년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30개 기관은 2016년 하반기, 100개기관은 2017년 상반기부터 시행에 들어가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올해 전체공공기관에서 1만7000명 규모의 신규채용이 진행될 예정"이라며 "직무중심 면접 등을 통해 3000명 수준의 채용이 이뤄질 것"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