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미국의 가계자산 중 금융자산 비중이 70%인데 반해 우리 나라는 25%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은퇴소득 확보를 위해 가계 스스로 금융자산을 축적할 수 있도록 지원혜택 등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주요국의 가계금융자산 형성 지원 제도 및 시사점'에 따르면 주요국의 가계금융자산 비중은 ▲미국 70.7% ▲일본 60.1% ▲영국 49.6% ▲호주 39.6% 등으로 40~70% 수준이다.
이에 비해 한국은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이 과도하게 높은 탓에 24.9%에 불과한 실정이다.
주요국 대비 노후 수입원을 살펴봐도 연금비중이 13.2%(▲독일 84.3% ▲일본 67.5% ▲미국 67.0%)로 현저히 낮은 반면 자녀의 도움은 30.1%에 달해 자발적 노후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국들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학자금펀드 등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세제혜택을 확대해 가계의 자발적이고 체계적인 노후대비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는 게 금투협의 분석이다.
이들 국가는 이러한 지원제도를 기반으로 자본시장에 장기투자를 확대해 저금리 시대에 안정적 운용수익을 확보하고 장기 안정자금을 토대로 경제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두 마리 토끼도 잡을 수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유인책이 미흡한데다 은퇴소득조차 여전히 원리금 보장상품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다.
금투협 관계자는 "도입 추진 중인 한국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WA)의 가입대상, 투자대상 등 제약을 최소화해 가계의 적극적 활용을 유도해야 한다"며 "저성장에 대응해 가계자산형성 지원제도와 자본시장과의 선순환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