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JYJ 김재중· 슈주 성민·최진혁, 31일 나란히 입대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1986년생 동갑내기인 'JYJ' 김재중과 '슈퍼주니어'의 성민, 배우 최진혁이 31일 나란히 입대한다.

이들은 이날 경기의 모 사단, 부천 17사단 등으로 입소해 5주간의 기초군사훈련을 받은 뒤 육군 현역으로 복무하게 된다. 

김재중은 앞서 팬미팅을 겸한 콘서트로 팬들과 작별 인사를 했다. 지난 28~29일 서울 고려대 화정체육관에서 열린 '2015 김재중 콘서트 인 서울 - 더 비기닝 오브 더 엔드'에서 팬들을 향해 "20대를 행복하게 만들어준 여러분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전날 자신의 트위터에 머리카락을 짧게 자른 사진을 게재한 뒤 "어제의 많은 지인들, 스텝들, 배우들, 가족들 바쁜데도 보러와준 유천이(촬영 잘하고), 준수(일본 공연 잘하고) 그리고 우리 팬들 때문에 많이 울고 웃고 소중한 시간 보내고 갑니다"라고 적었다. 그는 입대 후 솔로 정규 2집을 발표한다. 

성민은 유부남 신분으로 입대한다. 그는 지난해 12월 배우 김사은(30)과 결혼했다. 슈퍼주니어 멤버 중에서는 지난 24일 입대한 신동에 이어 여섯번째로 군 복무를 하게 된다. 

최진혁도 김재중과 마찬가지고 인스타그램에 짧게 머리카락을 자른 사진을 올린 뒤 "잘 다녀오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이날 모두 비공개로 입소한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모두 한류스타로 막강한 팬덤을 보유하고 있다. 기존 한류스타들이 입대를 할 때 국내뿐 아니라 해외 팬들이 플래카드 등을 들고 눈물을 흘리며 작별 인사를 하는 것이 당연한 풍경이었다. 

최근에는 김재중의 예처럼 사전에 팬들과 인사를 나누고 입대 직전 SNS에 글을 올리는 것으로 작별 인사를 대신하는 것이 주가 됐다. 

이들 중 한 관계자는 "같이 입소하는 분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고 조용히 입소하기를 바랐다"면서 "군 복무에 충실하겠다는 의지"라고 알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