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나의 유감스러운 남자친구, "이제는 순수하고 착한 남자가 대세"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그동안 많은 드라마에서 클리셰로 이용됐던 '완벽하지만 까칠한 남자 주인공' 공식이 흔들리고 있다. 최근 종영한 tvN '호구의 사랑'에서 '강호구', MBC TV 드라마 '앵그리맘'의 '박노아' 등 이제는 바보 같지만 순수하고 착한 남자가 대세다.

MBC 드라마넷 새 금·토드라마 '나의 유감스러운 남자친구'(극본 이재윤·연출 남기훈)도 이 추세에 힘을 더했다. 너무 순수해서 유감이라는 '윤태운'(노민우)이 주인공이다.

1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CGV에서 열린 '나의 유감스러운 남자친구' 제작발표회에서 노민우(29)는 윤태운을 "어린왕자가 그대로 성인이 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어릴 적 교통사고로 부모를 잃고, 엄마와 한 약속을 그대로 지키며 성장한 인물이다. 노민우는 "윤태운이 답답해 보이고 유감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가 어른이 되면서 순수함을 잃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윤태운의 상대역은 '유지나'(양진성)다. 윤태운과는 정반대의 인물. 너무 순수하지 못해서 유별녀라고 불린다. 커리어우먼으로 성공하겠다는 야심을 품고 시골에서 맨주먹으로 상경했다. 양진성(27)은 유지나를 "겉으로 보이는 것에만 신경 쓰는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드라마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이 둘이 우연히 엮이며 일어나는 사랑을 다룬 로맨틱 코미디다. 연애경험도 없고 여자에게는 관심도 없던 윤태운이 유지나를 만나 사랑에 눈을 뜨고, 순수함을 잃은 유지나가 윤태운을 만나 다시 순수함을 되찾는다.

이 둘 사이에 끼어드는 남자가 겉으로는 완벽한 '강희철'(윤학)이다. 윤학(31)은 강희철을 "다 가진 악역 같지만 속으로는 상처가 많은 인물"이라고 말했다. 젊은 나이에 국제 광고대회를 석권하며 광고회사 본부장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능력 있고 잘생겼지만 성공을 위해서라면 나쁜 일도 서슴지 않는 야망가다.

강희철을 짝사랑하는 여자로 '정혜미'(한혜린)가 등장한다. 광고회사 대주주의 외동딸로 평생 부모 덕을 보며 살았다. 좋아하는 남자는 혼자 힘으로 얻어 보려고 광고회사에 입사했다. 한혜린(27)은 "완전히 나쁘지도, 착하지도 않은 캐릭터"라고 설명했다. "혜미는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 어떻게 성장할지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나의 유감스러운 남자친구'의 OST는 노민우가 직접 제작했다. 노민우의 친동생이 노래를 불렀다. 그는 "그동안 심각하거나 슬픈 발라드곡만 만들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드라마에 어울리는 달달한 곡을 만들었다"고 했다.

'나의 유감스러운 남자친구' 첫 회는 10일 방송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