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13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중국인 관광상품을 취급하는 국내여행업체 300개사 대상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유치실태와 개선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57.6%가 '요우커 증가보다 경쟁심화가 더 크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손실 보충을 위해 질 낮은 관광상품이 난립하면서 한국 이미지가 악화돼 요우커 증가 추세가 지속되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왔다.
'요우커 증가와 경쟁심화 속도가 거의 같다'는 응답도 41.2%였고 '요우커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경쟁 심화 원인으로는 '시장내 공격적 마케팅 전개'(45.4%), '신규진입업체 급증'(32.6%), '개별여행 증가에 따른 일감축소'(15.6%) 등이 꼽힌다.
경쟁심화로 인해 수익성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요우커 유치에 따른 수익성에 대해 51.5%의 기업이 '낮다'고 답했고 지난 1년간 원가 이하로 요우커를 유치한 적이 있는지 대해서도 '경험이 있다'는 기업이 43.3%에 달했다.
수익성 악화는 여행 품질 악화로 이어졌다. 응답 기업들은 '쇼핑·옵션 확대'(54.8%), '다른 여행상품에 비용 전가'(27.0%), '미래투자로 손해감수'(11.9%), '품질수준 하향조정'(6.3%) 등을 통해 손실분을 보충했다.
그결과 요우커 만족도는 바닥을 밑돌았다. 중국인의 한국관광에 대한 이미지를 묻자 '나빠지고 있거나 그저 그렇다'는 기업이 81.6%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요우커 증가 추세에 대해서도 '지속가능하지 않다'(56.3%)는 기업이 과반수를 넘었다.
대한상의는 "요우커 증가보다 경쟁심화가 더 빠르게 이뤄지다보니 수익성이 떨어지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중국 현지 여행사에 모집인원당 커미션을 주고 데려와 쇼핑, 옵션관광으로 비용을 뽑는 악순환이 만연하고 있다"며 "이는 관광객의 불만과 방문기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관광업계는 과다한 경쟁은 자제하고 내실 있는 상품을 개발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