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난해 '한류'의 생산유발 효과가 12조6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KOTRA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 발간한 '2014년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류로 인한 생산유발 효과는 12조5598억원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류의 생산유발 효과는 ▲2011년 11조1224억원 ▲2012년 11조3535억원 ▲2013년 12조375억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효과가 가장 큰 분야는 게임(2조2476억원), 관광(2조1068억원), 식음료(1조8188억원) 등이다. 최근에는 화장품의 수혜 증가 폭이 가파르다. 증가폭이 가장 컸던 것은 화장품(8824억원)으로 전년 대비 56.6% 성장했다.
지난해 한류에 다른 취업유발 효과는 10만2226명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항목별로는 ▲관광 2만4520명 ▲게임 2만4308명 ▲식음료 1만6758명 등의 순이었다. 화장품은 4201명으로 전년 대비 56.6% 증가하며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류로 인한 문화콘텐츠, 소비재 및 관광 수출액 추정치는 61억6000만 달러다. 이는 전년보다 8.4% 증가한 수치로 한국 전체 수출액 증가율 2.3%를 앞섰다. 특히 화장품과 관광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이와 함께 한류의 인기와 소비는 아시아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지수' 조사 결과 ▲한류 대중화 및 고성장 단계는 말레이시아와 미얀마,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한류 대중화 및 중간성장 단계는 대만과 싱가폴, 중국, 태국, 필리핀 등이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 및 중간성장 단계는 멕시코와 미국, 아르헨티나 등 미주 지역 3개국 ▲소수 관심 및 중간 성장 단계는 독일, 러시아, 브라질 등 신흥 한류국가 ▲소수 관심 및 쇠퇴 단계는 이란, 인도, 일본 등으로 조사됐다.
KOTRA 관계자는 "전통적인 한류 강세 국가인 일본의 경우 정치적 요인이 소비자 심리에 복합적으로 작용해 한류 인기 쇠퇴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당분간 개선되기 어렵겠지만 K-POP 등 효과가 입증된 콘텐츠 마케팅은 유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전병석 KOTRA 지식서비스사업단장은 "국가별 한류 성장단계 및 확산 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중소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류 융합 마케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