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이디오테잎, 6월에 영국-스위스 등 유럽 투어 나서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한국 일렉트로닉 록 밴드 '이디오테잎(IDIOTAPE)'이 유럽 투어에 나선다.

14일 소속사 VU ENT에 따르면 이디오테잎은 6월24일부터 7월23일까지 영국과 독일 등지의 페스티벌 무대에 오른다.

세계 최대 규모의 음악페스티벌인 영국 '글래스톤베리'를 비롯해 올해 15주년을 맞이한 세르비아 '엑시트', 로비 윌리엄스·스팅·데이비드 게타가 나오는 스위스 '팔레오'에 출연한다.

유럽투어는 지난해 울산에서 열린 국제 뮤직마켓인 '에이팜'(APaMM·아시아퍼시픽 뮤직미팅)과 서울 국제 뮤직페어 '뮤콘 (MU:CON)' 등에서 활약하는 이디오테잎의 모습을 눈여겨 본 유럽의 유력 공연부킹 에이전시인 얼스비트(Earth Beat)와 계약으로 성사됐다.

이디오테잎은 유럽투어에 앞서 5월 중 아시아 최대 뮤직마켓인 싱가포르의 '뮤직매터스'에도 참여한다.

유럽투어 직후인 7월25일에는 '안산 M밸리록 페스티벌' 무대에 오른다.

VU ENT는 "이디오테잎의 유럽투어는 단발성 공연이 아니라, 앞으로 지속적으로 진행될 해외 공연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면서 "오는 9월과 연말에도 유럽 투어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디오테잎은 작년 발매한 2집 '투어스(TOURS)' 앨범 수록 곡을 국내 EDM 프로듀서 6팀이 리믹스한 버전으로 다시 내놓는다. 6월19일 홍대 예스24무브홀에서 열리는 '안산M밸리록 페스티벌' 프리파티 공연에도 나온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