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씨스타, '여름 걸그룹' 입지 굳히기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시원하고 밝은 노래와 섹시한 몸짓을 통해 '여름 걸그룹'으로 자리매김한 '씨스타'가 입지 굳히기에 들어갔다.

22일 세 번째 미니앨범 '셰이크 잇(Shake It)'을 발표한 씨스타의 효린은 이날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아티움에서 열린 쇼케이스에서 "여름하면 씨스타로 쐐기를 박고 싶다"고 눈을 빛냈다.

타이틀곡 '셰이크 잇(Shake It)' 역시 여름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히트 작곡가팀 '이단옆차기'가 프로듀싱을 맡은 곡으로 강렬한 브라스와 그루브가 인상적인 복고 풍의 댄스 트랙이다. '러빙 유' '터치 마이 바디' 등 기존 씨스타의 여름 댄스곡의 맥을 잇는다.

안무 역시 여름에 흥을 북돋울 만하다. 다솜은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고 쉽게 접근하기에 좋은 안무"라고 소개했다.

보라는 엉덩이를 강조하는 안무를 짰다고 알렸다. "'터치 마이 바디'는 힙을 털어주는 느낌이 강했다면 이번에는 자연스럽게 흔든다"며 시연도 보였다.

씨스타와 이날 역시 앨범을 발표하는 'AOA'를 비롯해 걸스데이, 나인뮤지스, 소녀시대, 에이핑크 등 '대세 걸그룹'들이 비슷한 시기에 활동하면서 '걸그룹 대전'에 돌입한다.

효린은 하지만 '걸그룹 축제'로 봐주셨으면 한다며 웃었다. "걸그룹마다 음악 스타일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듣고 다양한 안무를 보시게 돼 재미가 있지 않을까"라며 이같이 말했다.

씨스타는 이미 스타덤을 굳힌 그룹이다. 다솜은 "하지만 다른 그룹을 누르기 보다는 개개인의 발전과 팀의 발전이 우선"이라면서 "히딩크 감독님이 '우리는 아직 배고프다'고 하셔잖아요. 씨스타도 그래요. '씨딩크'라고 할까요(웃음). 갈길도 많고 할일도 많고 이루고 싶은 것도 많아요"라고 눈을 반짝였다.

최근 데뷔 5주년을 맞이했다. 소유는 지금까지 팀을 유지할 수 있는 원동력에 대해 "멤버들 관계죠. 리더(효린)가 잘 이끌어주고 동생들이 잘 따라줬기 때문인 것 같아요. 이제는 함께 숙소 생활을 안 하는데 그러다 보니 애틋해지는 것도 있죠"라고 웃었다.

그녀는 5년 뒤를 벌써 내다보기에는 "아직 멀다"고 했다. "한 치 앞을 보기에도 빡빡한 세상인데 우선 올해 여름에 열심히 활동해서 팬분들의 눈과 귀를 시원하게 만들고 싶어요. 이렇게 열심히 해서 5년 뒤에도 각자의 자리에서 활동했으면 해요."

앨범에는 이와 함께 래퍼 기리보이가 참여한 '애처럼 굴지마', 싱어송라이터 더네임과 작곡가 STEREO14가 공동 작업한 곡으로 래퍼 매드클라운이 피처링한 '나쁜놈' 등도 실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