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너네가 밴드냐' 비난 신경 안 써"…컴백 씨엔블루 '투게더'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데뷔 후 6년여 동안 밴드 '씨엔블루'(CNBLUE)에게는 '얘네가 밴드냐'는 비난이 따라 붙었다.

음악방송에서 핸드 싱크를 하는 대형 기획사 소속 밴드라는 이유였다. 꾸준히 발매한 자작곡이나 라이브 세트로 진행하는 콘서트 등 '밴드'임을 증명하기 위한 씨엔블루의 여러 시도가 폄하되는 일도 다반사였다.

씨엔블루가 14일 발매한 두 번째 정규앨범 '투게더'(2gether)는 이런 비난에 개의치 않고 준비한 앨범이다. '리얼' 악기 사운드 같지 않은 일렉트로닉한 음을 사용한 과감한 시도와 도전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그런 비난을 하도 많이 들어서 오히려 억지로 밴드 사운드에 맞춰서 곡을 썼던 것 같아요. 이번에는 그런 의견은 아예 생각하지 않고 좀 더 새롭게 악기를 연주하고 편집하는 식으로 변화를 주려고 했습니다."(정용화)

타이틀 곡 '신데렐라'(Cinderella) 역시 일렉트로닉 요소가 가미된 댄서블 한 팝 록으로 디스코풍 사운드에 신스 음을 더한 트렌디한 장르다. 멤버 정용화가 작사, 작곡, 편곡까지 도맡았다. 동화 '신데렐라'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떠나버린 여자를 기다리는 남자의 마음을 표현했다.

이 외에도 앨범에는 정용화의 자작곡 '숨바꼭질' '롤러코스터' '도미노' '캐치 미'(Catch Me) '홀드 마이 핸드'(Hold My Hand) '콘트롤'(Control) '라디오'(Radio)와 멤버 이종현의 자작곡 '히어로'(Here) '드렁큰 나이트'(Drunken Night) '발자국' 등 모두 11곡이 실렸다.

 "라이브 했을 때 신날 것 같은 음악을 만드는 데 신경을 썼고요. 가사에서 하고 싶은 말을 많이 담았습니다. '히어로'는 아버지께 바치는 마음을 노래한 곡이에요."(이종현)

데뷔 후 6년 동안 거둔 성과와는 별개로 계속 되는 비난을 마주하면서 씨엔블루 멤버들은 많이 단단해졌다. 라이브 연주를 보여줄 수 있는 곳이라면 방송이나 콘서트, 페스티벌 무대 등을 가리지 않고 겁내지 않을 생각이다.

 "초반에는 겁이 많이 났었습니다. 공연하는 게 너무 떨리고. 그런데 지금은 무대에 설 수 있고 공연한다는 것 자체가 신나기 때문에 어떤 인식을 깰 수 있다는 마음가짐이 준비가 된 것 같아요. 지금부터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정용화)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