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톱가수 아델, 마침내 정규 3집 '25'…첫 싱글은 '헬로'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롤링 인 더 딥'으로 유명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아델(25)이 3년 만에 새 앨범을 발표한다.

아델의 한국 음반유통사인 강앤뮤직과 외신 등에 따르면, 아델은 11월20일 정규 3집 '25'를 내놓는다.

아델은 22일 SNS에 앨범 발매 날짜와 '25' 커버를 공개했다. 그녀가 신곡을 선보이는 건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받은 2012년 싱글 '스카이폴' 이후 처음이다.

신보에 앞서 첫 싱글 '헬로'와 뮤직비디오가 공개된다. 캐나다 몬트리올의 풍광을 담았다. 영화 '마미' '탐앳더팜'으로 영화계 아이돌로 떠오른 자비에 돌란(26)이 감독했다.

'올해 가장 기대되는 앨범'으로 손꼽혀 온 아델의 새 음반 작업은 철저한 보안 속에 이뤄졌다. 지난 18일 영국의 오디션 프로그램 '엑스펙터' 방송 중간 광고시간에 등장한 트레일러가 첫 힌트였다. 암전에 30초 가량만 흐른 아델의 목소리가 전부였다.

아델은 이어 21일 SNS에 "(전 앨범) '21'은 '헤어짐'(a break up record)이었다. 굳이 이름을 붙이자면, '25'는 '화해'(a make up record)가 될 것이다. 나 자신과 화해 중이다. 내 잃어버린 시간, 내가 했고 하지 못했던 모든 것을 만회하려고 한다"고 적었다.

아델은 2008년 1집 '19'로 영국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하고 2008년 브릿 어워드 비평가상을 수상하며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롤링 인 더 딥' '섬원 라이크 유' 등이 실린 2집 '21'로 2012년 그래미 어워드 6개 부문, 빌보드 뮤직 어워즈 12개 부문을 수상하며 톱가수 반열에 올랐다.

올해 3월 영국 음반판매집계사인 오피셜 차트의 조사에 따르면, '21'은 474만 장의 판매량을 올려 '21세기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 1위에 올랐다. 1973년부터 2014년 2월까지 영국 전체 판매 순위에서는 4위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만 1200만장이 팔렸다. 세계에서는 3000만장 이상이 판매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